이은주 소셜미디어랩 기자
“요즘 유튜브 틀면 다 나와요. 없는 게 없어.”
주변에서 이런 말을 심심찮게 들을 때면 미디어 시장이 격변기를 넘어 국면 전환을 이루고 있음을 체감한다. 한 애플리케이션 분석 회사의 조사에 따르면 유튜브는 지난 4월 카카오톡, 네이버를 누르고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1위에 올랐다. 한 달간 시청 시간은 총 680억분에 달했다.
필자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면서 놀라웠던 것 중 하나는 조회수 순위와 총시청시간은 물론 콘텐츠별 ‘평균 시청 지속 시간’까지 상세하게 표기된다는 점이었다. 유튜브는 친절하게도(?) 과거의 영상 실적과 비교하고, 사람들이 얼마큼 이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상세히 보여 준다. 유튜브는 이 자료를 기준으로 콘텐츠의 노출 빈도 및 광고 여부 등을 결정한다.
이처럼 유튜브는 철저하게 콘텐츠별 성적표를 매겨서 광고로 수입을 올리는 비즈니스 모델을 내세운 플랫폼 회사다. 콘텐츠의 품질보다는 이용자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콘텐츠에 썼느냐가 가장 중요한 지표다. 유튜브 측이 가짜뉴스가 문제 될 때마다 “뉴스를 선별해 진위를 판단하는 것은 플랫폼의 역할이 아니다”라고 선을 긋는 것도 이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신문이나 방송 등 기성 미디어는 자체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친다. 기사나 콘텐츠를 내보내기 전에 진위는 물론 품질에 대해 여러 사람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거치는 것이다.
물론 이 역시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유튜브의 세계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자주 생략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튜브에는 사실보다는 ‘주장’에 가까운 콘텐츠가 많다. 이를 사실 관계가 확인된 뉴스로 믿고 받아들이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오픈 플랫폼’인 유튜브에선 누구나 뉴스와 콘텐츠를 만들 수 있지만, 누구도 콘텐츠의 진위나 질적인 문제 등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 정보의 검증과 취사 선택은 철저하게 이용자의 몫이 된 것이다.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유튜브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비대면 시대에 유튜브를 이용한 홍보 전략들이 쏟아진다. 이제는 유튜브라는 매체의 속성을 이해하고 그 이면까지 읽을 수 있는 능력인 ‘유튜브 리터러시’가 필요한 시대가 됐다.
이를 위해서는 유튜브 알고리즘에 무의식적으로 휩쓸리지 않고, 다른 콘텐츠와 비교도 해 보고 한 번쯤 의심도 해 보면서 ‘편식’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자세가 절실하다. 적어도 자신도 모른 채 ‘확증편향’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2021-08-12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