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가(國歌)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 가사는 그 자체가 한 편의 시다. 전쟁 포화 속 미국의 자유와 용기를 기리는 역설적인 내용을 담았다.
미국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가 1814년 영국과 전쟁 중이던 메릴랜드의 맥헨리 요새에서 휘날리는 성조기에 영감을 받아 쓴 시가 그대로 국가가 됐다. 영국군의 공격에도 국기가 펄럭이는 걸 보고 미국의 승리를 직감하며 시를 써 내려갔다고 한다.
“로켓의 붉은 섬광/ 창공에 작렬하는 포탄/ 밤새 우리 깃발이 그곳을 지켰음을 증명할지니/ 성조기는 휘날리리/ 자유의 땅과/ 용기 있는 자들의 고향에서” 마지막 구절은 평등과 자유에 기반한 헌법 아래 근대 민주주의국가로 발돋움한 과정이 치열한 투쟁이었다는 걸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영국 제국주의에서 쟁취한 독립이 결코 ‘공짜가 아니었다’(Free is not free)는 걸 여실히 보여준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된 미국 대선 과정을 취재하며 미국 국가를 많이도 들었다. 민주·공화 양당의 코커스, 프라이머리 등 경선과 전당대회, 각종 유세 현장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인상적이었던 건 어느 곳에서든 국가를 부르며 벅차오르는 감정을 드러내는 미국인의 모습은 성향을 막론하고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들에게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책무가 뭐냐’고 물었을 때 돌아온 대답은 다양했다. 경제 호황과 물가 안정, 불법 이민 정책과 총기 안전, 인권과 여성 권리 보장 등등. 정당을 초월한 대답은 ‘미국을 더욱 강하게’였다. ‘미국을 더욱 위대하게’(MAGA) 구호는 비단 공화당에만 국한되는 개념은 아니었던 셈이다. 미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자부심을 지키고 싶다는 일념은 모두에게 비슷했다.
한편으로는 부강한 민주주의 대국의 지속을 향한 열망은 같은데 권력을 점유하려는 이들이 욕망으로 여론 분열을 심화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든 제47대 대통령은 어느 때보다 엄중한 글로벌 상황 속에서 선서를 하게 될 것이다. 중동 전쟁은 휴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우크라이나 전쟁은 북러 밀착 속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선 파병으로 글로벌전으로 비화할 절체절명의 시기에 있다. 중국과의 전략 경쟁 속에 미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어떻게 유지할지도 관건이다. 세계의 경찰 역할에서 이탈해 자국 우선주의로 선회하려는 세력도 있지만 어떤 식으로든 1위 초강대국의 지위는 내주지 않으려 할 것이다.
이제 사나흘 뒤면 미국 대선 승자의 윤곽이 드러난다. 2016년과 2020년에 이어 더 심해진 정치 여론 양극화, 국민 분열로 인해 선거 직후 폭력 사태, 결과 불복 등으로 불거지리라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이 폭력과 선동에 찢겼던 2020년 대선 결과를 답습하지 않고 어떻게 민주주의의 새 역사를 쓸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한 표를 행사하는 미국 국민은 아마도 해답을 알고 있으리라.
이재연 워싱턴 특파원
미국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가 1814년 영국과 전쟁 중이던 메릴랜드의 맥헨리 요새에서 휘날리는 성조기에 영감을 받아 쓴 시가 그대로 국가가 됐다. 영국군의 공격에도 국기가 펄럭이는 걸 보고 미국의 승리를 직감하며 시를 써 내려갔다고 한다.
“로켓의 붉은 섬광/ 창공에 작렬하는 포탄/ 밤새 우리 깃발이 그곳을 지켰음을 증명할지니/ 성조기는 휘날리리/ 자유의 땅과/ 용기 있는 자들의 고향에서” 마지막 구절은 평등과 자유에 기반한 헌법 아래 근대 민주주의국가로 발돋움한 과정이 치열한 투쟁이었다는 걸 상징적으로 묘사한다. 영국 제국주의에서 쟁취한 독립이 결코 ‘공짜가 아니었다’(Free is not free)는 걸 여실히 보여준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된 미국 대선 과정을 취재하며 미국 국가를 많이도 들었다. 민주·공화 양당의 코커스, 프라이머리 등 경선과 전당대회, 각종 유세 현장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이 노래를 불렀다. 인상적이었던 건 어느 곳에서든 국가를 부르며 벅차오르는 감정을 드러내는 미국인의 모습은 성향을 막론하고 다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들에게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책무가 뭐냐’고 물었을 때 돌아온 대답은 다양했다. 경제 호황과 물가 안정, 불법 이민 정책과 총기 안전, 인권과 여성 권리 보장 등등. 정당을 초월한 대답은 ‘미국을 더욱 강하게’였다. ‘미국을 더욱 위대하게’(MAGA) 구호는 비단 공화당에만 국한되는 개념은 아니었던 셈이다. 미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자부심을 지키고 싶다는 일념은 모두에게 비슷했다.
한편으로는 부강한 민주주의 대국의 지속을 향한 열망은 같은데 권력을 점유하려는 이들이 욕망으로 여론 분열을 심화하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든 제47대 대통령은 어느 때보다 엄중한 글로벌 상황 속에서 선서를 하게 될 것이다. 중동 전쟁은 휴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우크라이나 전쟁은 북러 밀착 속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선 파병으로 글로벌전으로 비화할 절체절명의 시기에 있다. 중국과의 전략 경쟁 속에 미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어떻게 유지할지도 관건이다. 세계의 경찰 역할에서 이탈해 자국 우선주의로 선회하려는 세력도 있지만 어떤 식으로든 1위 초강대국의 지위는 내주지 않으려 할 것이다.
이제 사나흘 뒤면 미국 대선 승자의 윤곽이 드러난다. 2016년과 2020년에 이어 더 심해진 정치 여론 양극화, 국민 분열로 인해 선거 직후 폭력 사태, 결과 불복 등으로 불거지리라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이 폭력과 선동에 찢겼던 2020년 대선 결과를 답습하지 않고 어떻게 민주주의의 새 역사를 쓸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한 표를 행사하는 미국 국민은 아마도 해답을 알고 있으리라.
이재연 워싱턴 특파원
이재연 워싱턴 특파원
2024-11-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