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태평 한국마사회 회장
그는 설명하는 가운데 자신의 “성공요인”을 언급하였다. 필자는 “성공요인”이라는 말 대신에 “내가 했던 방식”으로 표현하라고 권했다. 성공이 아니라는 뜻이 아니다. 이런 능력과 열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여기가 성공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이 젊은이는 훨씬 더 큰 성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 우리 농어촌에 이런 젊은이들이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어 흐뭇하다. 그러나 이 젊은 농업인의 자랑스러운 사례발표를 들으면서도 필자는 어딘지 마음이 편치 않았다. 이런 젊은이를 제대로 가르치고 거들어 준다면, 더욱 잘 성장할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 때문이었다.
필자가 아끼는 다른 젊은 농업인은 대학을 다닐 때 화장품 외판원으로 아르바이트를 했던 경영학 전공 출신이다. 졸업 후에는 이것저것 많은 경험을 쌓았고, 농업의 가능성을 확신하고 9년 전 기반도 없이 강원도에 자리를 잡았다. 처음엔 자금이 없어 고랭지채소, 수박, 배추 등을 사서 팔고 다음엔 포도즙을 가공해서 파는 일을 하면서 농업기반을 마련했다. 지금은 1만평의 벼농사, 5000평의 감농사, 5000평의 채소농사를 하면서 1년 매출 3억원에 순소득 2억원을 올리는 농업인이 되었다.
그는 옆에서 보면 놀면서 일하는 사람 같다는 평을 받는다. 한 달에 10일 정도는 교육을 받으러 돌아다닌다. 농업교육뿐 아니라 무역협회나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실시하는 교육도 듣고, 시장을 돌아다니고, 선도농가를 방문한다. 일본 등 외국의 전시회도 최소한 1년에 한 번 이상을 방문한다. 그러니 옆에서 보면 노는 것 같다. 그랬기에 그는 한 상자에 30만원을 받는 명품 곶감을 만들어 팔고 있다. 그는 교육이 너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을 모아 유명한 교수님을 초청하여 50시간 교육, 80시간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농업인도 직업인이기 때문에 아무리 바쁜 농번기에도 1주일에 하루를 정해 가족과 함께 쉬고, 저녁 6시 이후에는 일을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이 젊은이는 맥을 아는 지혜로운 사람이다. 몸으로 일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로 일하는 사람이다.
페레스 이스라엘 대통령은 농업은 95%가 기술이며, 노동은 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농업도 기술과 경영으로 해야 한다. 훌륭한 피아노 연주자나 태권도 선수는 무수한 교육과 무수한 연습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학교에서만 배우지 않고 일정한 교육과정으로 끝나지 않는다. 극히 예외도 있을 수 있겠지만, 혼자서 아무리 열심히 해도 일정 수준을 넘어 고단수가 되기는 너무 어렵다. 농업도 마찬가지이다. 교육은 앞선 수많은 선배들의 성공과 실패가 축적되어 만들어진 길이다.
어떤 기업이 우수한 기업인가를 판단할 때, 직원들의 교육시간을 기준으로 평가해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교육의 성과는 눈에 보이지 않아서 젊은이들은 교육의 성과를 믿지 못하고 소홀히 한다. 자기가 알고 있는 것으로 만족하고, 어느 정도 이루면 그것으로 만족하기 쉽다. 세상이 넓고 자기보다 더 잘하는 사람이 수없이 많은데…. 옆에서 더 체계적으로 도와준다면, 우리 젊은 농업인들이 마음껏 기개를 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2011-10-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