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돋보기] 금 나와라 버섯/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생태 돋보기] 금 나와라 버섯/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입력 2019-06-24 20:54
수정 2019-06-25 02: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정길상 국립생태원 생태기반연구실장
금은 여러 원소 중 매우 안정적이다. 철, 구리 등과 달리 녹슬지 않고 상태가 오래 유지되며 1g으로 약 3㎡ 넓이로 펼 수 있고, 최대 3㎞까지 늘어나는 독특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존재하는 금속인데 역사적으로 5500년 전 이집트에서 금 제련이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 희귀한 데다 아름다워 물물교환 시대 후인 2500년 전부터는 물건의 가치를 매기는 화폐로서 기능을 담당했다. 14세기 스페인 탐험대에 의해 남미의 문명과 생태가 무너지게 되는 계기가 바로 금을 찾기 위한 항해에서 비롯됐다니 한편으로 서글프다. 금은 우주시대에도 필수적인데, 우주왕복선 한 대당 약 40㎏의 금이 사용되고 우주복과 장비 등에 코팅돼 태양에서 방출되는 치명적인 방사선을 막아 준다.

채굴은 여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90%는 ‘시안화물 용탈’이라는 방법으로 얻는데, 시안화물은 꿩을 잡을 때 쓰던 ‘싸이나’라고 불리던 독극물이다. 루마니아에서는 시안화물 유출로 체르노빌 핵 유출 이후 최악의 환경재앙을 겪기도 했을 정도로 전 세계 금광 주변에서 독극물 유출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지난 20년간 금광 발견이 줄고 재활용되는 금은 30%에 불과했다. 수요를 맞추려고 더 깊이 채광하고 독극물을 쓰는 제련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최근 호주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가 눈길을 끈다. 호주 연구진은 푸사륨류 버섯 일종이 금 치장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버섯이 특수 화학물질을 분비해 주변의 금을 산화와 환원 과정을 통해 침전시켜 자신의 균사에 붙이는 생태적 특성을 확인한 것이다. 금을 붙인 버섯이 더 빨리 자란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버섯이 사는 지역을 조사하면 금맥의 위치를 쉽게 찾아내 불필요하게 땅을 파헤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생리생태적 특성을 이용해 환경을 해치지 않고 금을 얻는 방법이 가능해진 셈이다. 버섯뿐 아니라 특정 미생물은 합금에서 금을 분리한다. 생물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남는데 생태 연구는 이 같은 상호작용을 찾는 일이다. 다양한 생물들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자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삶을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생태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을 이용해 더 효율적이고 환경에 해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 자원 개발과 이용 방식을 바꾸는 것이 우리 미래를 위한 올바른 방향일 것이다.

2019-06-25 2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