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늙은이 ‘옹’/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늙은이 ‘옹’/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6-20 22:52
업데이트 2018-06-21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인쇄매체에 주로 보이던 ‘옹’은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 ‘옹’은 방언처럼 숨을 쉰다. 간혹 보이는 건 누군가 방언을 쓴 것이고, ‘걸러지지’ 않은 말일 가능성이 높다.

매체들은 독자들에게 ‘친근함’을 나타내고 싶었다. ‘옹’은 친근하지 않았다. 말 자체도 어려워 보이는 데다 가깝지 않고 멀리 있다는 분위기를 남겼다. 상대를 정중하게 대해야 한다는 암시도 줬다.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옹’은 구석 깊숙이 있는 말이 돼 갔다.

‘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나이가 많은 사람의 성명 뒤에 붙였었다. 그 사람을 높이는 구실을 한 것이다. 그렇게 박완서의 소설 ‘오만과 몽상’에도 보인다. “짧은 기사는 ‘독립 유공자 강봉수 옹 별세’라는 제목으로 시작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만 붙인 것이 아니라 좀 낯설지만 외국인에게도 붙였었다. ‘피카소옹’, ‘간디옹’, ‘사르트르옹’이라고.

‘존경’의 의미가 조금 바랬을 때 매체들은 ‘옹’ 대신 ‘할아버지’를 썼다. 친근하게 다가가서 독자를 더 끌어들이겠다는 속내가 있었다.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불편해하지 않았다. 반대일 때가 많았다. 그러나 오래가지 않았다. 자기 이름 뒤에 ‘할아버지’가 붙는 게 불편해졌다.

이제 그 자리를 ‘공평’해 보이는 ‘씨’가 차지한다. 언론매체에서 ‘씨’는 존칭이라기보다 ‘성인임을 나타내는 말’의 의미로 주로 쓰인다.

wlee@seoul.co.kr

2018-06-21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