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매체들은 독자들에게 ‘친근함’을 나타내고 싶었다. ‘옹’은 친근하지 않았다. 말 자체도 어려워 보이는 데다 가깝지 않고 멀리 있다는 분위기를 남겼다. 상대를 정중하게 대해야 한다는 암시도 줬다. 멀어질 수밖에 없었다. ‘옹’은 구석 깊숙이 있는 말이 돼 갔다.
‘옹’은 사회적으로 존경받고 나이가 많은 사람의 성명 뒤에 붙였었다. 그 사람을 높이는 구실을 한 것이다. 그렇게 박완서의 소설 ‘오만과 몽상’에도 보인다. “짧은 기사는 ‘독립 유공자 강봉수 옹 별세’라는 제목으로 시작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만 붙인 것이 아니라 좀 낯설지만 외국인에게도 붙였었다. ‘피카소옹’, ‘간디옹’, ‘사르트르옹’이라고.
‘존경’의 의미가 조금 바랬을 때 매체들은 ‘옹’ 대신 ‘할아버지’를 썼다. 친근하게 다가가서 독자를 더 끌어들이겠다는 속내가 있었다.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불편해하지 않았다. 반대일 때가 많았다. 그러나 오래가지 않았다. 자기 이름 뒤에 ‘할아버지’가 붙는 게 불편해졌다.
이제 그 자리를 ‘공평’해 보이는 ‘씨’가 차지한다. 언론매체에서 ‘씨’는 존칭이라기보다 ‘성인임을 나타내는 말’의 의미로 주로 쓰인다.
wlee@seoul.co.kr
2018-06-21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