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 ‘개소’ 들은 공문서의 색을 바래게 한다. 문장을 덜 세련되게 한다. ‘실제로 시행한다’는 ‘실시’는 정책과 사업을 설명하는 자료에는 어김없이 나온다. 그만큼 필수적인 낱말로 자리잡았다. ‘행정용어’라는 명칭이 붙을 만도 하다.
공문서들은 ‘훈련을 실시한다’, ‘직원 교육 실시’,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처럼 ‘실시’를 너무 자연스레 붙인다. 그렇지만 일상의 눈으로 보면 낯설고 어색하고 딱딱하게 다가온다. 일상의 언어에서는 ‘훈련을 한다’, ‘직원 교육’, ‘활동을 한다’가 된다. 언어의 경제성을 따지면 ‘실시’는 군더더기일 때가 많다.
‘조치’도 ‘실시’ 같은 말 가운데 하나다. 불필요할 때가 많다. ‘실시’보다 무겁고, 때로는 권위적으로 비치기도 한다. ‘격리하는 조치다’, ‘위반 시 엄중 조처’ 같은 공문서의 표현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각각 ‘격리하는 일이다’, ‘위반 시 엄중 처리’여도 무방해 보인다.
공문서에서는 또 ‘곳’이나 ‘군데’ 대신 ‘개소’를 즐겨 사용한다. 그러면 그 문서는 좀 낡아 보이거나 뻣뻣해 보이는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기업의 언어, 언론의 언어도 같이 가게 되는 예들이 있다. 이상적인 건 일상의 언어와 더 가까워지는 것이다.
wlee@seoul.co.kr
공문서들은 ‘훈련을 실시한다’, ‘직원 교육 실시’,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처럼 ‘실시’를 너무 자연스레 붙인다. 그렇지만 일상의 눈으로 보면 낯설고 어색하고 딱딱하게 다가온다. 일상의 언어에서는 ‘훈련을 한다’, ‘직원 교육’, ‘활동을 한다’가 된다. 언어의 경제성을 따지면 ‘실시’는 군더더기일 때가 많다.
‘조치’도 ‘실시’ 같은 말 가운데 하나다. 불필요할 때가 많다. ‘실시’보다 무겁고, 때로는 권위적으로 비치기도 한다. ‘격리하는 조치다’, ‘위반 시 엄중 조처’ 같은 공문서의 표현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각각 ‘격리하는 일이다’, ‘위반 시 엄중 처리’여도 무방해 보인다.
공문서에서는 또 ‘곳’이나 ‘군데’ 대신 ‘개소’를 즐겨 사용한다. 그러면 그 문서는 좀 낡아 보이거나 뻣뻣해 보이는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 기업의 언어, 언론의 언어도 같이 가게 되는 예들이 있다. 이상적인 건 일상의 언어와 더 가까워지는 것이다.
wlee@seoul.co.kr
2019-03-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