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민식 작가
그런데 나를 사로잡은 건, 다름 아니라 늙은 래퍼들이었다. 이미 음반도 내고 유명해져 광고에도 출연하는 등 자신만의 음악적 영역이 있을 법한 늙은 래퍼들이 출연한다는 사실이었다. 심지어 심사위원들로부터 선생님이라 불리는 래퍼도 오디션에 참가했다. 과거에 심사위원이었던 래퍼도 바닥에서부터 경쟁을 통해 올라오는 경우도 보았다. 이미 자신의 영역이 구축된 늙은 래퍼들이 왜? 각자 사정이 있겠지만 그들은 우선 자신만의 음악이 낡지 않았다는 걸 보여 주려 했던 건 아닐까. 그게 아니라면 자신의 음악은 낡았으니 새로운 도전을 통해 신선하고 낯선 음악을 찾고자 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그들은 나를 되돌아보게 만들었다.
나이 먹었다고 소설을 쓰고 보는 일에 대해 나만의 편협한 틀을 갖게 되었고 모든 걸 안다는 듯 굴지는 않았는지, 조언이랍시고 내가 배우고 익혀 온 얄팍한 지식들을 마치 진리처럼 늘어놓는 꼰대가 된 건 아닌지…. 이제 무엇을 쓰건 타성에 젖어, 문장에 대해, 시대에 대해 그리고 인간에 대해 더이상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느끼는 건 아닌지.
늙은 래퍼들이 자신의 예술 세계로 신선해지거나 잃지 않은 초심을 보여 주기 위해선 지금까지 살아온 노력보다 더 큰 노력이 필요할 터였다. 이미 대중에 익숙한 래퍼들이 출연해 나름의 랩을 부르는데 예전의 모습에서 더이상의 변화를 느끼지 못할 때 그들은 외면당할 테니까. 낯설어지거나 신선해지지 않으면 결국 탈락하고 심할 땐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는 걸 각오하고 오디션 프로그램에 나오는 걸 보면 대단한 용기가 아닐 수 없다.
예술가라면 의당 그래야 하지 않을까. 이제 겨우 책 몇 권 내놓고 소설의 정수를 다 알게 된 것처럼 굴었다면 나는 이미 죽은 소설가이다. 이쯤의 서사와 이쯤의 문장이면 읽을 만하지 않으냐고 자찬했다면 그 역시 죽은 소설가이다. 끝없이 새로운 것들에 대해 고민하고 낯선 것들을 거부하지 않으며 완전하지 않지만 신선하고 패기 있는 이야기들을 써내는 게 진짜 소설가의 몫일 것이다.
사실 난 늙지도 않았고 중견작가라 말하기엔 작가로 등단한 후 지낸 세월이 그리 길지 않다. 그럼에도 날 중견작가 취급해 주는 건 고마운 일이나 그건 내가 낡았다는 말인지도 모른다. 난 습작생처럼 긴장된 마음가짐으로 희망보다는 재능 부족에 절망하는 그런 작가로 매일을 살려고 한다. 때론 생활에 지쳐 쉬운 길을 택할지도 모른다. 그럴 때마다 ‘쇼미더머니’에 출연한 늙은 래퍼들이 혼신을 다해 부르는 노래를 들으며 새롭게 각성할 일이다.
매년 11월에 이르면 신춘문예에 응모할 소설을 쓰느라 밤새 뜨거운 열병을 앓았다. 뜬눈으로 밤을 보내고 소설 쓰는 일에만 골몰했다. 그 시절의 열병이 앞으로도 영원하길. 남들이야 좀 우습게 바라볼지 모르지만 나 자신에게만이라도 새롭고 신선한 세상을 구축하기 위해 경계도 넘고 장르도 넘어 보려 한다. 어떤 소설을 쓰든 바닥에서부터 다시 시작하는 그런 심정으로 이야기를 해야겠다. 그렇게 산다면 늙은 래퍼가 아니고 늙은 소설가도 아니다. 그냥 래퍼가 있고 그냥 소설가가 있을 뿐이다.
2021-11-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