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우주를 꿈꾸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세종로의 아침] 우주를 꿈꾸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6-07 02:47
수정 2024-06-07 0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과학 선진국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했던 우주 전담 조직이 한국에도 생겼다. 지난달 27일 ‘한국판 나사’로 불리는 우주항공청이 경남 사천에 문을 연 것이다.

설립을 둘러싸고 말이 많았기 때문인지, 우주청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한국도 이제 ‘뉴 스페이스’ 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과연 그럴까. 우선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를 주저앉히거나 결혼식장을 방금 빠져나온 신혼부부에게 저주를 퍼붓는 따위의 악취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싶다. 우주 선진국들처럼 우주 개발 역사가 길지 않고, 민간 우주기업 기반도 탄탄하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정부 기관 하나 만들어졌다고 해서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렸다고 환호하는 것이 과하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객관적으로 봐도 그렇다. 우주청이 모델로 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본부를 포함해 18개 산하 연구기관과 시설을 갖추고 직원만 1만 7000여명에 이른다. 전년 대비 삭감된 수준이라지만 1년 예산은 32조원이 훌쩍 넘는다. 반면 우주청은 산하기관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2곳뿐이며 직제상 정원인 293명의 절반에 못 미치는 110명 규모로 시작했다. 예산도 나사의 산하 연구기관 한 곳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 1958년 7월 나사의 출범 목적은 분명했다. 소련이 세계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성공하자 충격을 받아 이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겠다는 것이었다. 명확한 목표와 꾸준한 투자 덕분에 정확히 나사 설립 11년째 되는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로 달 착륙에 성공했다.

반면 우리 우주청은 ‘뉴 스페이스 시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라는 다소 모호한 목적으로 출범했다. 국민의 호응과 사랑을 받지 못한다면 존재감 없는 천덕꾸러기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청 설립으로 우주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처럼 김칫국부터 들이켜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우주는 인류가 나무 위에서 내려와 두 발로 땅을 딛고 일어서서 처음 고개 들어 위를 쳐다보게 되면서부터 오랫동안 선망의 대상이었다. 옥토끼가 산다고 생각됐던 달에 사람을 보내 발자국을 남김으로써 인류 진보의 무한한 가능성을 증명하고, 미래에 대한 더 큰 꿈을 꿀 수 있게 한 것이 나사의 가장 큰 업적이다. 나사가 미국인들과 전 세계인들에게 신뢰와 사랑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도 나사는 홈페이지에 매일 새로운 우주 관측 사진을 업데이트하고 우주 관련 자료를 모두 공개해 우주가 궁금한 이들의 보물창고 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적인 우주 선진국들이 나사처럼 우주 전담 조직을 앞다퉈 만든 것도 우주 개발로 자국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 주고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한 선언적 의미가 크다.

이런 것들을 미뤄 보면 우주청이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물론 뉴 스페이스 시대를 대비한 우주 연구개발만큼이나 국민이 우주청 설립 효능감을 느끼도록 하는 프로젝트도 필요하다. 나사 수준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하는 간단한 것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장기 거주하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우주인 선발 등도 하나의 방법이다. 더불어 우주 개발과 관련한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이 귀찮아할 정도로 일일이 알림으로써 모든 사람에게 우주를 꿈꾸고 과학기술을 가슴에 품게 하는 것, 일단 그것만으로도 우주청 존재 가치는 충분하다.

유용하 문화체육부 과학전문기자

이미지 확대
유용하 문화체육부 과학전문기자
유용하 문화체육부 과학전문기자
2024-06-0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