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든지’와 ‘던지’/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든지’와 ‘던지’/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11-17 20:36
수정 2021-11-18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능일마다 얼마나 춥든지 올해도 걱정했는데 다행히 따뜻하답니다.”

“그래도 방한 물품이던지 두꺼운 옷이던지 준비하는 게 좋아요.”

위 문장에 쓰인 ‘든지’와 ‘던지’는 맞게 쓰인 걸까. 정답은 ‘아니요’다.

‘던지’와 ‘든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써야 한다. 하지만 발음이 비슷해서인지 혼동해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던지’는 과거의 일을 회상하되 그것이 뒤 절의 일이나 상황을 일으키는 근거나 원인으로 추정됨을 나타내는 말이다. “술기운이 과했던지 그는 어느새 꾸벅꾸벅 졸고 있었다”처럼 쓰인다. 또한 과거의 일이나 상황을 회상하여 감탄하는 뜻을 나타내거나 막연한 의문 또는 의심의 뜻을 나타낼 때 쓰인다. “가을 하늘이 얼마나 곱던지 눈물이 다 나더라”, “거기에 왜 갔던지 도통 생각나지 않는다”와 같이 쓸 수 있다.

‘든지’는 어느 것이 선택돼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쓰이거나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쓰인다. “키위든지 딸기든지 먹고 싶은 대로 먹어라”, “결혼을 하든지 말든지 관심 없다”처럼 쓸 수 있다. 비슷한 형태의 ‘든가’도 ‘든지’와 의미나 쓰임새가 같다.

따라서 “수능일마다 얼마나 춥던지…”와 “그래도 방한 물품이든지 두꺼운 옷이든지 준비하는 게 좋아요”가 맞게 쓰인 문장이다.
2021-1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