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연구소까지 뚫린 구제역, 당국 할말 있나

[사설] 국가연구소까지 뚫린 구제역, 당국 할말 있나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제 충남 청양의 축산기술연구소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한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축산기술연구소는 우량가축을 생산·보급하고 품종 개량까지 맡는 정부기관이다. 당연히 일반 농가보다 훨씬 엄격한 방역체계를 갖춰 빈틈이 없어야 했다. 정부수립 후 정부 축산연구소의 첫 구제역 발생이 놀라울 따름이다. 가축 전문가들이 모인 국가기관의 사정이 이럴진대 일반농가는 어떨지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최고수준의 ‘심각단계’ 발령에도 구제역이 급속히 번지고 있지만 감염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금이라도 대응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꼼꼼히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번 구제역은 광범위하고 소에 비해 3000배나 감염이 빠르다는 돼지까지 발병하면서 최악의 사태를 예고했다. 구제역 농장주 자살까지 있었고 ‘심각단계’의 발령이 나왔다면 방역시스템을 더욱 공고히 다졌어야 하는 것이다. 강화에서 발생한 지 2주만에 내륙 중심으로 번진 만큼 만전을 기하겠다는 당국의 방역체계가 제대로 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군다나 철통 같은 방비를 해도 모자라는 축산연구소가 아닌가. 연구소 측은 소독과 예찰에 철저했다지만 직원의 활동, 이동에서 소홀하지 않았나 촘촘하게 따져봐야 할 것이다.

이미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농가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쌓였고 소·돼지의 유통·소비까지 혼란을 빚고 있다. 그런데도 감염경로 파악이 안돼 언제 어디서 발생소식이 들려올지 알 수 없는 불안한 상황이다. 축산농가의 해외 위험지역 방문 자제와 위험지역 방문자에 대한 철저한 검역, 방문 뒤 격리기간 엄수 같은 당장의 체계부터 다시 점검할 것을 촉구한다. 지방선거에 앞서 방역당국과 지자체의 대응이 소홀해질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청정국’ 지위 회복은 고사하고 만성 구제역 후진국의 불명예를 씻기 위해서라도 총체적 대응에 나서야 할 것이다.
2010-05-03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