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깜깜이 교육감선거 내 자식 장래 걱정된다

[사설] 깜깜이 교육감선거 내 자식 장래 걱정된다

입력 2010-05-19 00:00
업데이트 2010-05-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2 지방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교육감선거에 대한 관심은 냉랭하기만 하다. KBS를 비롯한 공중파방송 3사가 코리아리서치 등 여론조사기관에 의뢰, 실시한 조사는 교육감선거가 뒷전에 있음을 극명히 보여준다. 누구를 지지할지 모르겠다는 무응답층이 절반이 넘은 곳이 16개 시·도 중 무려 8곳에 달한다. 서울만 해도 부동층이 60%에 이른다. 자치단체의 교육 인사·재정권을 좌우하는 교육감의 위상을 볼 때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이대로라면 후보의 얼굴과 성향도 파악하지 못한 채 한 표를 던지는 ‘묻지마 투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교육감은 시·도의 교육정책은 물론 교원 인사와 학교 예산을 주무를 수 있는 자리이다. 올해 전국 시·도 교육감이 집행하는 예산만 해도 32조 5467억원에 달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더군다나 지금 우리 교육계는 격랑에 흔들리고 있지 않은가. 공교육 활성화와 사교육 절감에 초점을 맞춘 교원평가제며 입학사정관제, 교장공모제, 고교선택제 같은 굵직굵직한 정책들이 본격 시행되고 있다. 이런 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교육감일진대 당연히 제대로 된 인사를 뽑아야 하는 것이다.

교육감 선거를 직선제로 바꾼 취지는 교육수요자들이 직접 인재를 뽑도록 하자는 데 있다. 우리 아이들에게 미래교육을 앞당겨주고 교육 선진화를 이끌 백년대계의 큰일들을 해낼 적임자를 가려내자는 것이다. 그럼에도 지금 선거는 답답하기만 하다. 정당공천을 배제하고도 후보들의 정치권 결탁과 세몰이가 빤히 보인다. 기호 없이 순번만으로 후보를 배열해 정당을 암시하는 듯한 1·2번 순위에 후보들이 목 매는 탓에 ‘로또 선거’란 말이 공공연하다. 정치적 중립과 전문성보다 야합과 뒷거래가 번지는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후보 개인의 성향과 정책을 더욱 촘촘히 따져봐야만 하는 것이다.

이번 교육감 선거의 평균 경쟁률은 5.1대1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후보가 난립한 데다 광역·기초단체 후보들이 교육에 초점을 맞춘 공약들을 앞다퉈 내놓아 정작 ‘교육 대통령’ 후보의 옥석 가리기가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정치적 욕심에 함몰된 채 정책과 소신을 팽개친 철새들은 솎아내야 한다. 4년 뒤 우리 아이들이 지금보다 나은 교육을 받을지, 더 열악한 환경에 빠질지는 눈 밝은 유권자들의 선택에 달려 있음을 깊이 인식해야 할 것이다.
2010-05-19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