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6·2 지방선거에서 참패하면서 인적 쇄신론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닥쳐왔다. 당·정·청 어느 한 곳도 예외 없이 전면 개편 논란의 거대한 소용돌이에 빠져들어가는 상황에 처했다. 이제는 민심을 겸허하게 수용하면서 집권 후반기의 국정 운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는 길을 고민해야 할 때다. 인사가 만사임을 깊이 인식하는 게 출발점이다. 어떤 인물들로 새로 짜고, 그 규모는 어느 정도로 하느냐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시기도 결코 가볍게 봐서는 안 될 일이다.
인적 쇄신론과 관련해 두 가지 관점에서 주문하고자 한다. 첫째 당·정·청 수뇌부의 교체를 포함해 대대적인 인선을 할 것이냐, 부분적으로 손을 댈 것이냐, 즉 개편 규모의 문제다. 이는 다다익선식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게 우리의 기본 인식이다. 그렇다고 해서 책임을 회피하고, 민심을 외면하는 모양새로 땜질식 개편에 그친다면 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정운찬 총리의 경질 여부는 세종시 문제 등과 연계해 심사숙고돼야 할 사안이다. 사의를 표명한 정정길 대통령실장의 후임 인선을 포함해 청와대 참모진에 대해 대통령을 잘못 보좌한 책임을 묻는 것도 필요하다. 두번째 시기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나치게 서둘러도 안 되지만 질질 끌어서도 곤란하다. 역대 청와대 비서실장과 정무수석, 정무장관 등이 조속한 개각을 주문한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자칫 시기를 놓쳐 뒤늦게 인적 개편을 단행할 경우 위기를 더 키울 수도 있다. 이는 국정 동력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레임덕을 앞당기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방향을 새롭게 틀 것이라는 얘기가 들린다. 그 변화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려면 인적 쇄신이 먼저 단행되어야 한다. 한나라당부터 솔선수범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정인을 염두에 둔 전당대회 연기 논란은 애시당초 안 될 일이다. 적절한 세대교체로 노장 조화를 이루고, 친이-친박 간 화합으로 전열을 새롭게 정비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는 7월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치르고 매듭지을 사안이다. 따라서 청와대와 내각의 새 진용은 그보다 먼저 구축돼야 한다.
인적 쇄신론과 관련해 두 가지 관점에서 주문하고자 한다. 첫째 당·정·청 수뇌부의 교체를 포함해 대대적인 인선을 할 것이냐, 부분적으로 손을 댈 것이냐, 즉 개편 규모의 문제다. 이는 다다익선식으로 양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서는 안 된다는 게 우리의 기본 인식이다. 그렇다고 해서 책임을 회피하고, 민심을 외면하는 모양새로 땜질식 개편에 그친다면 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정운찬 총리의 경질 여부는 세종시 문제 등과 연계해 심사숙고돼야 할 사안이다. 사의를 표명한 정정길 대통령실장의 후임 인선을 포함해 청와대 참모진에 대해 대통령을 잘못 보좌한 책임을 묻는 것도 필요하다. 두번째 시기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나치게 서둘러도 안 되지만 질질 끌어서도 곤란하다. 역대 청와대 비서실장과 정무수석, 정무장관 등이 조속한 개각을 주문한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 자칫 시기를 놓쳐 뒤늦게 인적 개편을 단행할 경우 위기를 더 키울 수도 있다. 이는 국정 동력을 약화시키고, 나아가 레임덕을 앞당기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국정방향을 새롭게 틀 것이라는 얘기가 들린다. 그 변화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하려면 인적 쇄신이 먼저 단행되어야 한다. 한나라당부터 솔선수범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정인을 염두에 둔 전당대회 연기 논란은 애시당초 안 될 일이다. 적절한 세대교체로 노장 조화를 이루고, 친이-친박 간 화합으로 전열을 새롭게 정비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는 7월 전당대회를 예정대로 치르고 매듭지을 사안이다. 따라서 청와대와 내각의 새 진용은 그보다 먼저 구축돼야 한다.
2010-06-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