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답투성이 EBS교재 책임 물어라

[사설] 오답투성이 EBS교재 책임 물어라

입력 2010-10-23 00:00
업데이트 2010-10-23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음달 18일에 실시되는 올해 수능시험 출제에 70%까지 연계키로 한 EBS 수능교재의 오류가 심각하다. 한나라당 김성태 의원이 EBS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EBS 홈페이지에서 접수한 교재의 오답, 복수정답 같은 오류가 2300건에 달한다. EBS가 자체 확인한 오류도 561건이나 된단다. EBS 강의와 교재에 매달려온 일선학교와 수험생들의 혼란이 불을 보듯 뻔하다. EBS 측은 동영상 강의와 홈페이지 정·오표를 통해 정정공지했다지만 학교와 학생들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오류가 드러난 문제를 수능에서 빼는 건 물론 교재 제작과 감수에 간여한 관계자를 문책해야 할 것이다.

수능과 EBS 교재 연계는 사교육 근절과 지역·계층 간 교육평등 실현이란 두 마리 토끼를 함께 잡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정책 방향은 옳다 하더라도 수능시험을 8개월 앞두고 전격 발표된 만큼 시작부터 졸속의 파장이 우려됐던 게 사실이다. 정부의 연계 발표 이후 수험생들이 인터넷 강의에 몰리는 바람에 심각한 인프라의 허점이 일찍부터 불거졌다. 많게는 30권까지 교재를 소화해야 하는 수험생 부담도 만만치 않은 것이다. 실제로 학원가에선 EBS 교재 요약강의가 성행하고 교실에선 교과서 대신 EBS 교재 강의에 더 치중해오지 않았는가. 공교육 살리기란 취지가 또다른 사교육을 유발하고 정규 교과수업을 내치는 부작용이 속출하니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사교육 근절이란 큰 목표에 가려 행정의 우선순위가 뒤바뀐 건 아닌지 점검해야 한다. EBS 강의·교재는 엄연히 학교교육을 떠받치는 부재에 불과하다. 정부 방침대로 수험생들이 EBS 강의와 교재만으로 수능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으려면 교실수업에 맞춘 완벽한 교재를 먼저 갖춰야 한다. 올해 EBS 수능교재 판매액은 1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추산된다. 독과점의 수혜를 톡톡히 누리면서 교재조차 제대로 만들지 못해서야 공교육을 살리긴커녕 비난만 살 뿐이다. 먼저 이번 오류 파동에 관련된 인사들을 엄하게 조치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 나아가 지역·계층 간 교육평등을 달성하자면 저소득층에 대한 EBS 강의와 교재 지원을 대폭 늘릴 방안을 찾아야 한다.
2010-10-2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