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피크타임 난방 중단 모두가 동참하자

[사설] 피크타임 난방 중단 모두가 동참하자

입력 2011-01-18 00:00
업데이트 2011-01-1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혹한이 장기간 전국을 휩쓸면서 전기 사용량이 결국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어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영하10도 안팎의 강추위가 이어지는 바람에 낮 12시 기준으로 최대 전력수요가 7313만 7000㎾까지 올라간 것이다. 이는 지난 10일 기록한 7184만㎾를 이레 만에 넘어선 수치일 뿐만 아니라 정부가 동절기 최고치로 예상한 7250만㎾보다 80만㎾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예비전력은 404만 2000㎾에 불과해 위험 수위인 400만㎾에 육박했으니, 대규모 정전 사태 등 그동안 우려한 ‘전기 대란’이 코앞에 닥친 꼴이 됐다.

한파가 지속되자 정부는 지난 12일 국민에게 담화문을 발표해 과도한 전기난방과 불필요한 전기 소비를 자제해 달라고 호소한 바 있다. 이어 어제부터 전 공공기관에서 에너지 절약을 강화하도록 긴급 지침을 내렸다. 그러나 절전은 공공기관에만 떠맡길 일이 결코 아니다. 전국민이 실내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하고 피크타임인 오전 11시∼낮 12시와 오후 5∼6시에는 난방기기 사용을 자제하며, 평상시 내복을 입는 습관을 들이는 등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하겠다.

예비전력이 부족해지면 전기 품질에 민감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지장을 받게 된다. 산업생산에 직접 피해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더욱이 온풍기, 전기장판, 전기히터 등 전기기구를 주 난방수단으로 삼는 사람들은 우리사회에서 소득이 낮은 계층이다. 따라서 정전사태가 생기면 그 피해는 대안이 없는 사회적 약자가 떠안게 된다. 그러므로 한겨울에 내복을 입지 않는다거나 실내에서 반팔 차림으로 있는다는 건 더 이상 자랑거리가 아니다. 국민 모두가 절전에 적극 나서 저소득층을 보호하고 산업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 피크타임에 난방을 잠시 중단하는 건 물론이고 가정·직장에서 전기 스위치를 하나라도 더 끄는 노력을 벌여 이 겨울을 다 함께 따뜻하게 나자.
2011-01-1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