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구제역 악몽 되풀이 안되게 철저히 점검해야

[사설] 구제역 악몽 되풀이 안되게 철저히 점검해야

입력 2011-11-02 00:00
수정 2011-1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제 경북 포항의 한 한우 농장에서 사육 중인 14마리 한우 가운데 1마리가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여 잔뜩 긴장했지만, 정밀검사 결과 음성판정을 받아 다행이다. 해당 사육농장의 농장주는 최근 중국 베이징을 여행하고 돌아오면서 입국 때 공항에서 소독을 받는 등 수칙을 지켰다. 또 구제역 의심 증상을 보인 소는 올해 초부터 세 차례 백신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한다. 농장주가 구제역에 대비해 제대로 된 수칙을 지킨 게 화(禍)를 막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여간 다행스럽지 않다.

포항에서의 구제역 의심 신고는 8월 말 경북 봉화군에서의 의심 신고 이후 두달여 만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의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할 무렵이라는 점에서 정부와 축산농가, 국민 모두 긴장한 게 사실이다. 지난 4월 20일 경북 영천의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마지막으로 발생한 뒤 지금까지 신고된 13차례 구제역 의심 증상이 모두 음성으로 판정이 나 다행이지만, 날씨가 추워지면 구제역 바이러스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점검과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지난해의 경우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확인됐지만 초동대처가 미흡했던 데다 이후의 판단 미숙으로 전국 11개 시·도 75개 군에서 소 15만여 마리, 돼지 331만여 마리를 땅에 묻었던 재앙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정부와 축산농가 모두 지난해의 구제역 악몽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전국을 휩쓸다시피 한 구제역을 다시는 겪지 않기 위해 정부는 모니터를 한층 강화하고 차질 없이 백신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 축산농가는 소독을 강화하고, 백신 접종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가축 이동도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좋다.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한다면 더 이상 누구를 탓하고, 무엇을 말할 수 있겠는가.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우(愚)를 범하지 않도록 만전에 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011-11-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