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 정치’ 첫발 뗀 박 대통령과 여·야 회동

[사설] ‘소통 정치’ 첫발 뗀 박 대통령과 여·야 회동

입력 2016-05-13 18:22
업데이트 2016-05-13 18: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 원내 지도부가 어제 청와대에서 20대 총선 후 처음으로 만나 총선 민의인 협치(協治)의 방향을 모색했다. 그 결과 박 대통령과 3당 대표 간 회동을 분기에 한 차례씩 정례화하기로 했다. 경제부총리는 3당 정책위의장과 빠른 시일 내 민생 현안 점검회의를 갖는다. 1시간 20여분간 진행된 이날 회동에서는 그 밖에도 안보 상황, 가습기 살균제 사태 등 다양한 현안들이 논의됐고, 대체로 긍정적 방향에서 추진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날 회동의 성과는 국정의 소통 확대로 요약할 수 있겠다. 특히 박 대통령과 3당 대표가 석 달에 한 번씩 자리를 함께한다는 것은 의미가 결코 작지 않다.

경제와 안보의 중첩 위기 속에서 국정의 해답을 도출하려면 자주 만나 소통하고 타협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했다. 실질적으로 소통하는 새 정치 문화를 만들어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해 내길 기대한다. 그런 점에서 박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의 분발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노동 개혁이나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등 정부가 추진해 온 개혁 과제 등과 관련해 야당은 여전히 부정적인 입장이라는 사실도 이번 회동에서 확인됐다. 세월호특별법 개정 등 일부 민감한 사회적 현안에 대해 정부 여당 또한 기존의 완강한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과 야당이 각각 가습기 살균제 사태 규명 여·야·정 협의체 구성,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 등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서로 경청하는 등 자기주장만 펴던 기존의 회동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연출했다.

지난번 총선에서 국민들은 여야 어느 당에도 절대 반수가 넘는 의석을 몰아 주지 않았다. 한발 더 나아가 이분법적 대립 구도만 보여 줬던 양당 체제를 무너뜨리고 3당 체제를 만들었다. 게다가 제1당을 여당에서 야당으로 바꿔 놓기까지 했다. 이 같은 총선 민의가 의미하는 바는 자명하다. 어느 당도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만큼 협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소통하고 조율하면서 일하는 국회를 만들라는 것이다. 국회가 달라져야 하는 이유다. 특히 실질적으로 소통하는 새로운 정치 문화를 만들어 내야 한다. 야당의 책임이 더욱 막중해졌다.

박 대통령도 이 같은 국민의 지상명령을 비켜 갈 수는 없다. 이유야 어찌 됐든 국민들에게는 ‘불통 대통령’ 이미지가 강했고, 여당 참패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박 대통령의 독선적인 국정 운영과 무관치 않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거야 정국에서 야당을 훼방꾼이 아닌 국정의 동반자로 인식하지 않는다면 야당의 협조는 더욱 구하기 어려울 것이다.

결국 임기 후반의 국정을 원만히 이끌어 가기 위해서라도 국정 운영 스타일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부응하듯 박 대통령은 3당 대표와의 회동 정례화 약속을 지키겠다고 했다. 이 같은 협치의 틀이 갖춰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실질적인 성과도 나타날 것이다. 박 대통령과 여야가 합심해 반드시 만들어 내야만 한다.
2016-05-14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