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광주·전남 경제와 창조혁신 포럼

[사설] 광주·전남 경제와 창조혁신 포럼

입력 2016-08-30 21:18
업데이트 2016-08-30 22: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 뒤 산업이 죽고 청년이 떠나면 광주가 남아 있겠는가.” “전남 제조업의 93%를 차지하는 조선·철강·석유화학은 무너지기 직전이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과 이낙연 전라남도지사의 어조는 비장했다. 지역경제는 지금 더 나빠질 것도 없는 위기라는 것이다. 그제 서울신문사와 광주시·전남도 주최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창조·혁신 포럼’에서 나온 얘기다. 두 단체장이 절절하게 털어놓은 지역경제의 현실은 포럼이 왜 열려야 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그럴수록 정부부터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말하면서도 해법을 제시하는 데 인색하지 않았는지 반성이 필요하다.

포럼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정부, 산업계, 학계가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함께 고민해 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따라서 어려운 경제 현실을 나열하는 자리에 그치지 않은 것은 당연한 결과다. 실제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광주시와 전남도의 의지는 강했다. 광주시는 친환경 자동차를 지역의 차세대 전략 산업, 전남도는 청정 에너지를 미래를 열어 갈 신산업으로 중점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신산업은 지역의 의지만으로는 부족할 수밖에 없다. 두 단체장이 중앙 정부와 중앙 정치권, 지역에 머물지 않는 전문가 그룹과 머리를 맞댈 수 있는 기회의 소중함을 여러 차례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광주시의 친환경 자동차 산업과 전남도의 청정 에너지 산업은 지역의 미래 먹거리이자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지자체 차원에서 추진하다 잘되면 좋고, 안 돼도 그만이라는 식이어선 곤란하다. ‘지역경제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포럼의 주제는 ‘국가와 지역이 공동운명체’라는 것을 의미한다. 포럼에 참석한 황교안 국무총리가 “전국 시·도가 미래 성장을 이끌어 갈 전략 산업에 재정·세제·금융·인력 등을 중점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인식을 반영한 결과라고 본다.

지역경제 포럼은 광주·전남에 이어 부산, 전북, 대구, 경북, 충청, 강원, 경기, 제주를 순회한다. 이들 지역을 근거로 하는 대기업들도 지역경제 회생의 중심축이라는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광주·전남도 현대기아자동차, 포스코, 한국전력의 존재가 신산업의 기반이 됐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이번 순회 포럼이 관념이 아니라 실천으로 지역경제를 살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
2016-08-3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