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고음 더 커진 신흥국 금융위기 면밀히 주시해야

[사설] 경고음 더 커진 신흥국 금융위기 면밀히 주시해야

입력 2018-09-16 22:26
업데이트 2018-09-16 2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신흥국의 통화가치와 주가가 폭락하면서 10년 만에 다시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위기 10년 주기설’도 역할을 한다. 터키와 아르헨티나에서 시작된 암울한 위기의 그림자는 브라질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의 금융시장으로까지 길게 드리워졌다. 올 들어 아르헨티나의 통화가치는 무려 50.9%나 떨어졌다. 터키의 주가는 연초 대비 20%가 빠졌다. 앞으로 일부 신흥국 통화가 더 떨어지고, 이 국가들의 위기가 신흥국 전체로 전염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이번 신흥국 위기는 미국 등이 양적완화 정책을 거둬들이면서 기초체력이 취약한 신흥국의 통화가 급락하고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속도로 이탈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은 올 상반기에만 두 차례 금리를 인상했고 이달 말에도 기준금리를 더 올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신흥국으로 몰렸던 자금이 고금리를 좇아 더 빨리 이탈 행렬에 합류할 것은 자명하다. 사상 최대 수준인 외화부채 규모도 신흥국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 여기에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한 향배도 신흥국 위기에 큰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예의주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다른 신흥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하나 우리도 마냥 안심할 수는 없는 처지다. 아직 수출이 역대 최대 수준이고, 외국인 자금 이탈 흐름이 눈에 띄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앞으로 미국과의 금리차가 더 벌어지면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에서 신흥국의 위기가 가중되면 우리도 영향을 받는 건 불가피하다.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고용위기, 부동산시장 폭등 등은 현재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심각한 불안 요소다. 정부는 신흥국 위기를 자세히 살피면서 금융시장 등을 점검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2018-09-1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