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일정이 가시화되고 있어 글로벌 금융시장이 긴장에 휩싸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 계획을 공표할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오는 11월부터 정책이 실행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동안 미국에서 테이퍼링에 대한 필요성이 줄기차게 제기됐지만 구체적인 시점이 적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무게감이 다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데다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5.4% 치솟으며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중반까지 테이퍼링 절차를 모두 마치면 다음 단계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하다. 미국의 테이퍼링이 현실화되면 달러 유동성이 압박을 받으면서 글로벌 자금시장의 연쇄적인 파문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2014년에 미국의 전격적인 테이퍼링 결정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던 사례가 있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경제 펀더멘털이 안정돼 있지 않은 신흥국들의 자금 유출이 현실화하면 글로벌 금융 불안이 수출 위주인 한국의 실물 경제에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미국의 테이퍼링 가시화는 코로나 장기화로 확대된 저금리 ‘유동성 잔치’ 시대가 끝나 가고 있다는 경고다. 정부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지만 글로벌 긴축 신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금융시장 혼란이 실물경제로 옮겨붙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글로벌 양적완화 축소 다음 단계인 금리 인상이 시시각각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국은행은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 계획이다. 한계치에 이른 가계부채 ‘연착륙 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임하길 바란다. 한은과 기재부 등 통화정책 당국은 금융시장 불안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 방안을 상시 점검해야 한다. 미 테이퍼링 현실화가 불러올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실효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길 당부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는 데다 지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5.4% 치솟으며 1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중반까지 테이퍼링 절차를 모두 마치면 다음 단계에서는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하다. 미국의 테이퍼링이 현실화되면 달러 유동성이 압박을 받으면서 글로벌 자금시장의 연쇄적인 파문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2014년에 미국의 전격적인 테이퍼링 결정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쳤던 사례가 있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경제 펀더멘털이 안정돼 있지 않은 신흥국들의 자금 유출이 현실화하면 글로벌 금융 불안이 수출 위주인 한국의 실물 경제에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미국의 테이퍼링 가시화는 코로나 장기화로 확대된 저금리 ‘유동성 잔치’ 시대가 끝나 가고 있다는 경고다. 정부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지만 글로벌 긴축 신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으면 금융시장 혼란이 실물경제로 옮겨붙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글로벌 양적완화 축소 다음 단계인 금리 인상이 시시각각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국은행은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 계획이다. 한계치에 이른 가계부채 ‘연착륙 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임하길 바란다. 한은과 기재부 등 통화정책 당국은 금융시장 불안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대응 방안을 상시 점검해야 한다. 미 테이퍼링 현실화가 불러올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실효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길 당부한다.
2021-08-1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