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뭉크의 ‘절규’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뭉크의 ‘절규’

입력 2024-04-08 23:50
수정 2024-04-16 1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뭉크의 ‘절규’가 곧 서울에 온다. 1892~1893년은 뭉크가 작품 구성 주제를 대중에 전달하고자 노력했던 중요한 해다. 이 모티브는 실제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1892년 1월 22일자 뭉크의 일기에는 ‘절규’에 대한 영감이 나온다. “나는 두 명의 친구와 함께 길을 걷고 있었다. 나는 한 줄기 우울한 기분을 느꼈다. 갑자기 하늘이 피투성이가 됐다. 나는 걸음을 멈추고 난간에 기댔는데, 피곤해서 죽을 지경이었다. 파란색의 검은 피오르와 도시 위로 불타는 하늘이 피처럼 드리워져 있고, 친구들은 계속하여 불안감에 떨면서 서 있었다. 나는 자연을 통해 무한한 비명을 느꼈다.”

그동안 많은 비평가가 다양한 해석을 시도했지만 사실 팩트는 다음과 같다. (1)자연적으로 거칠어진 하늘의 색에 대해 혹자들은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폭발로 인한 화산 먼지 때문일 거라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폭발은 1883년에 일어났으므로 이는 억지다. (2)작품 속 인물은 실제로 비명을 지르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의 원래 이름은 ‘자연의 비명’(The Scream of Nature)을 의미했다. ‘절규’의 석판화에는 색칠된 작품과 달리 “자연 속에서 큰 비명을 느꼈다”고 쓰여진 뭉크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뭉크는 비명을 지르는 자연의 감각을 느낀 것이다. 자연이 지르는 비명 소리에 귀를 막고 있는 사람인 것이다.

(3)뭉크는 코트다쥐르를 여행했는데 이후 석양의 기억들을 그리길 원했다. 피 같은 붉은색으로 석양이 얼마나 아프며 얼마나 그에게 불안을 주었는가를 나타냈다. 하늘의 물결치는 S커브의 모습 그리고 벗겨진 머리와 열린 입을 통해 인간의 모습을 없애 버렸다. 이 해석이 많이 이해되는 작품 설명이다. (4)모나리자 이후 미술사에서 가장 상징적인 작품이다.

(5)현대에 들어서도 팝아트와 문화로도 만들어졌고 계속해서 시각문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6)뭉크가 불행한 유소년기를 보낸 것은 맞다. 5세 때 어머니를 결핵으로, 9년 후엔 누이도 결핵으로 잃었다. 여동생과 아버지는 우울증에 시달리다 세상을 떠났다. 남동생도 서른 살에 사망했다. 뭉크 역시 병약해 질병이 늘 따라다녔으므로 살맛이 나지 않았을 듯하다. 이런 경험과 질병, 광기, 죽음의 형상들이 격렬한 색채로 표현됐다. ‘절규’는 미술사 최고의 하이라이트 작품이다.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이미지 확대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조명계 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2024-04-09 2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