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올빼미와 부엉이/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올빼미와 부엉이/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08-14 19:56
수정 2022-08-15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6. 파주에서 만난 솔부엉이.
2021.6. 파주에서 만난 솔부엉이.
구조상자를 열자 동그랗고 커다란 노란 눈이 시선을 내게 고정하고는 갈색의 동그란 머리를 빙글빙글 돌렸다. 오래전 광고에서 나온 소위 맷돌춤이 생각났다. 유리창에 부딪혀서 날개가 부러져 구조된 솔부엉이였다. 머리를 빙글빙글 돌리는 건 솔부엉이의 전형적인 경계 반응이라고 했다.

손으로 잡으면 싫어서인지 솔부엉이 특유의 부우부우 소리 대신 끼익거리는 날카로운 소리를 내고 잡은 손을 물기도 했다. 손가락이 물린다고 발목을 잡은 손을 잠시라도 놓으면 벌레를 잡는 날랜 발로 손가락도 집는다. 올빼미류의 발가락은 잠금 구조가 있어 먹이를 잡으면 놓치지 않는다더니, 한번 발가락에 집히면 다른 사람이 발가락을 하나하나 벌리지 않는 한 떨어지지 않았다. 멧비둘기 정도의, 크지 않은 맹금이라도 쥐를 잡아 죽이는 발톱은 정말 너무 아팠다.

일반적으로 부엉이는 귀깃이 있고 올빼미는 귀깃이 없다고 구분하지만 솔부엉이는 귀깃 없이 갈색의 동글동글한 머리를 가졌는데도 이름이 솔‘부엉이’다. 또 소쩍새는 귀깃이 있지만 소쩍부엉이가 아니라 그냥 소쩍새다. 귀깃의 유무로 올빼미와 부엉이를 구분하는 건 사실 의미가 없다. 올빼미든 부엉이든 소쩍새든 다 올빼밋과의 야행성 맹금이니 각 종명으로 부르는 게 아니라면 다 부엉이나 올빼미로 불러도 무방하다.

밤에 사냥하는 새인데도 한국에 머무는 봄여름가을 내내 유리창에 부딪혀 다친 솔부엉이가 끊이지 않고 구조되었다. 이동할 때나 새끼들을 키울 때는 낮에도 사냥을 다닌다고 하는데 그 때문인지, 아니면 밤에도 유리창은 위험한지 그건 모르겠다. 가벼운 뇌진탕이나, 심하지 않은 날개 골절의 경우 수술 후 방생되는 경우도 있지만, 손을 쓸 수 없이 심하게 다치는 경우도 많아서 안타까웠다. 사람 보기에 좋자고 만든 유리창이 너무 많은 새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다.

다친 솔부엉이만 보다 마침내 야생의 멀쩡한 솔부엉이를 만나던 날이 생각난다. 초록의 나뭇잎 그늘 아래 가지에 앉아 쉬던 솔부엉이는 내가 나타나 셔터를 누르자 감고 있던 눈을 살짝 뜨고 나를 내려다보았다. 적당히 떨어진 채 시끄럽게 굴지 않아서인지 솔부엉이는 그저 눈을 살짝 뜨고 내려다볼 뿐이었다. 이 정도는 허락해 주지 하는 여유가 보였다. 유리창 같은 데 부딪히지 말고, 오래오래 사고 없이 지내라고 마음으로 빌었다.

2022-08-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