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 대흥사 일지암 주지
이런저런 사람들 중 안타까움과 연민이 드는 경우 대개 ‘현재’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을 때다. 이른바 “오늘을 살아라”라는 카르페디엠이 절실한 분들이 의외로 많다. 특히 ‘오늘’의 자리에 ‘어제’를 얹고 사시는 분들이 있다. 내가 가끔 만나는 어느 분은 언론계와 정계의 경력을 두루 거친 분이다. 그런 그가 시쳇말로 잘나가다가 어느 날 출세의 날개가 꺾였다. 십 년 넘게 좌절과 절망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그는 옛날에 인연이 있는 지인들을 만나면 늘 과음하며 화려했던 전력을 자랑한다. 본인이 얼마나 한국 사회에서 대단한 자리에 있었는지를 은근 과시하고자 당시의 인맥을 줄줄이 늘어놓는다. 좋은 노래도 매번 들으면 심드렁하고 지겨운 법이다. 지인들은 죽을 지경이다. 그래서 그를 피한다. 당연히 외롭고 고독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그는 화려했던 한 시절을 붙들고, 아니 붙잡혀 살아가고 있다.
내 도반 스님이 어느 날 이렇게 말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생로병사의 고통을 말했는데, 요즘 사람들은 그보다 훨씬 심각한 고통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그 고통은 다름 아닌 ‘비교분별고’란다. 이웃과 비교하고, 과거와 비교하면서 결핍과 열등감에 자승자박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맞는 말인 듯하다. 세월이 흐르면 젊은 시절의 피부는 자연스레 탄력을 잃고 목에 주름이 생기는 현상은 당연한 이치인데도 거울을 보고 속상해한다. 지위에서 물러나면 주변의 시선과 관심도 그에 맞추어 자연스레 변하는 법이다. 그럼에도 과거의 지위와 인기를 붙들고 살며 자기를 알아 주지 않는다고 서운해한다. 세상사가 무상하다는 단순한 이치를 모르는 큰 어리석음이 아닐 수 없다.
무상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몸과 감정, 인간관계 등 모든 것들이 불변의 모양으로 영원토록 고정돼 있지 않다는 뜻이다. 점검해 보라. 변하지 않는 것이 무엇이 있는지를. 세상사는 어떤 조건들이 관계 맺으며 형성된다. 그리고 새로운 조건에 따라 변한다. 그 변화에 따라 생각을 바꾸는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이다.
고여 있는 물은 썩는 법이다. 부처님은 폭력과 착취 등 반윤리적인 행위의 결과로 인간이 고통과 갈등을 일으킨다고 했다. 더불어 악행은 아닐지라도 그 무엇에 집착하면 구속과 불안이 따른다고 했다. 밧줄로 묶여도 속박이고 황금줄로 묶여도 속박인 이치가 바로 그것이다. 이른바 고령화 시대를 맞아 몸의 건강을 챙기면서 아울러 마음의 건강도 함께 챙길 일이다. 그 마음 건강은 과거를 붙잡지 않는 일에서 시작한다. 옛 스님은 ‘그 무엇으로부터 자유’를 이렇게 노래했다.
나무를 찾아 가지를 잡음은 그리 기특한 일이 아니니/벼랑에 매달렸을 때 손을 놓을 줄 알아야 대장부라네/물은 차고 밤은 서늘한데 고기 찾기 어려우니/빈 배에 달빛 싣고 돌아가네.
2019-03-12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