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원전 오염수 방출, 책임 있는 일본의 역할을 기대한다

[기고] 원전 오염수 방출, 책임 있는 일본의 역할을 기대한다

입력 2020-11-10 20:18
업데이트 2020-11-11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재학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정재학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최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최종 폐기 방안으로 해양 방출을 공식 발표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전 세계에 걸쳐 순환하는 해류에 오염수를 방출할 경우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일본 현지 주민뿐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해양 방출만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유일한 원전 오염수 폐기 방안인지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공개된 일본 측 자료에 따르면 오염수는 삼중수소 외에도 70% 이상이 코발트나 세슘 등 방사성물질이 방출 기준 농도를 초과한 상태다. 일본 정부는 삼중수소 외의 방사성물질은 추가 처리하고, 삼중수소는 기준 농도 이하로 희석해 최장 30년에 걸쳐 바다로 방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론적으로는 계획대로 오염수를 잘 처리해 방출할 경우 해수 순환에 따른 추가 희석 효과로 방출 지점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우리나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 방출이 정말 불가피하고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을까. 다양한 대안 중 하나로 고려할 수는 있겠으나 유일한 폐기 방안이라고 성급하게 결정하고 밀어붙이는 것은 참으로 곤란하다.

원전 사고로 발생된 방사성 오염수 처리 문제가 논란이 된 것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례가 처음이 아니다. 1979년에 사고가 발생한 미국 TMI 원전 2호기에서도 사고로 인한 오염수를 폐기한 적이 있다. 당시 미국은 장기 저장, 하천 방출, 증발 후 대기 방출 등 여러 폐기 방안을 논의했고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과 규제기관의 검토·승인을 거친 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약 9000t의 오염수를 증발시켜 대기에 방출하고 잔유물은 고형화해 미국 내 방폐장에 처분했다. 이처럼 증발 후 대기 방출도 충분히 실행 가능한 후쿠시마 오염수 폐기 방안이다. 해양 방출에 비해 환경으로 방출되는 방사성물질이 대폭 감소하고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물질의 대부분을 일본 내에서 처분함으로써 당사국의 책임 의식을 보여 줄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다.

또한 올해 8월 사이언스지 게재 논문에서 미국 해양학자가 제안한 바와 같이 부지 내외에 추가로 저장탱크를 확충해 60년 장기 저장을 통해 삼중수소 방사능의 97%를 저감하는 방안도 가능한 대안의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후쿠시마 사고 원전의 해체에 앞으로도 최소 30~4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해양 방출만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국내외 이해관계자의 불신과 반감만 더 키울 뿐이다. 일본 정부는 실행 가능한 다양한 폐기 방안에 따른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평가해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고, 여유를 가지고 주변국과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구하며 순리적으로 풀어 가는 것이 마땅하다. 우리도 우리나라에 미칠 수 있는 잠재 위험을 과장하거나 왜곡한 정보는 경계하는 냉정함과 현명함을 함께 유지할 필요가 있다.
2020-11-11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