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고속열차를 타고 부산 출장을 다녀왔다. 서울보다 3~4℃ 낮은 부산의 기온은 상대적으로 편안했다. 왕복 다섯 시간 남짓 무더위를 철벽방어하는 쾌적한 실내에서 느긋하게 책을 읽는 시간은 평화로웠다.
열중해서 읽던 소설이 결말에 이를 즈음 종착역에 닿았다. 막바지에 속도를 마구 올렸음에도 남은 페이지를 보며 혼자 탄식했다. ‘딱 10분만 연착했으면 다 읽을 수 있었는데….’
소설을 읽을 때 나쁜 습관이 있다, 도입부에선 주춤거리다가 탄력이 붙으면 끝이 궁금해져 책장을 빨리 넘긴다. 그래서인가 푹 빠져 읽은 책도 시간이 좀 지나면 내용이, 특히 결말 부분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기차에서 덮은 소설을 가방에 이틀쯤 묵혔다가 꺼냈다. 멈춘 곳에서 50쪽쯤 거슬러 올라가 천천히 읽기 시작했다. 호흡을 바꾸니 내용도 다르게 다가왔다. 돌아보면 책 읽는 버릇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상의 사건을 관찰하는 것도, 누군가의 인생을 읽는 것도 그런 조급증으로 얼마나 많은 오류를 범했을까 싶다.
오래전에 함께 일했던 어른 한 분이 생각난다. 그분이 복도를 걸을 때면 항상 발보다 머리가 반 보 정도는 앞섰다. 다리가 급한 마음을 따르지 못하니 몸은 앞쪽으로 기울어 자주 넘어졌다.
찰스 디킨스는 ‘피크윅 문서’에서 바람에 날아간 모자를 잡는 방법을 이렇게 묘사했다.
‘계속 굴러가는 모자를 다시 잡는 데 필요한 것은 약간의 침착함이 아니라 비상한 판단력이다. 너무 성급하면 모자를 지나쳐 넘어지게 된다. 너무 천천히 가면 모자를 영영 놓친다. 모자를 잡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렇다. 추적의 대상과 가능한 한 동일선상에 머무르면서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때를 기다린다. 천천히 모자에 다가가다 갑자기 손을 뻗쳐 모자 테를 잡는다. 그리고 모자를 머리에 꽉 눌러쓴다. 그러면서 계속 웃는 것이 좋다. 모자를 잡기 위한 그 모든 일에, 구경하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재미를 느끼는 것처럼.’
서두는 만큼 실수가 잦은 그분에게 피에르 상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선물한 기억이 있다. 책 속에서 저자는 2000년에 접어들 무렵을 이미 ‘현기증 나도록 빨리 돌아가는 현대’라고 했다. 지금 20, 30대가 그 시절을 접한다면 짜증 나도록 느린 세상에 코웃음을 칠 텐데…. 당시 그 책은 1, 2권 연달아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어느 시대에나 사람들은 속도 경쟁에 멀미를 느끼며 살게 돼 있는 모양이다.
동유럽에서 전해지는 우화 가운데 이런 내용이 있다.
“주위를 쳐다보지도 않은 채 바쁘게 걸어가는 사람을 보고 토끼가 물었다. ‘무엇 때문에 그렇게 급하게 가고 있니?’ 사람이 대답했다. ‘나의 일을 쫓아가고 있어.’ 토끼가 다시 물었다. ‘그런데 네가 일을 쫓아가야 할 정도로 일이 너를 앞서서 달리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 그 일이 네 등 뒤에 있을지도 모르잖아. 그러면 그냥 멈추기만 하면 만나게 될 텐데. 지금 너는 일로부터 도망치고 있는 것인지도 몰라.’”
한때는 앞뒤 옆을 돌아볼 새 없이 일만 쫓아다닌 적이 있으나, 이젠 읽는 속도를 조절할 일만 남았다. 어차피 나이가 들면 소화력도 떨어진다. 사람을 읽는 일도, 책을 읽는 것도, 느긋하게 과정을 즐겨야 할 것이다.
다만, 남은 무더위의 시간만큼은 빠르게 흘러가기를, 아울러 세상의 모든 아픈 사람이 건강하게 회복되는 시간도 최대한 당겨지기를 비는 마음은 예외로 한다.
강의모 방송작가
소설을 읽을 때 나쁜 습관이 있다, 도입부에선 주춤거리다가 탄력이 붙으면 끝이 궁금해져 책장을 빨리 넘긴다. 그래서인가 푹 빠져 읽은 책도 시간이 좀 지나면 내용이, 특히 결말 부분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기차에서 덮은 소설을 가방에 이틀쯤 묵혔다가 꺼냈다. 멈춘 곳에서 50쪽쯤 거슬러 올라가 천천히 읽기 시작했다. 호흡을 바꾸니 내용도 다르게 다가왔다. 돌아보면 책 읽는 버릇만 그렇지는 않았을 것이다. 일상의 사건을 관찰하는 것도, 누군가의 인생을 읽는 것도 그런 조급증으로 얼마나 많은 오류를 범했을까 싶다.
오래전에 함께 일했던 어른 한 분이 생각난다. 그분이 복도를 걸을 때면 항상 발보다 머리가 반 보 정도는 앞섰다. 다리가 급한 마음을 따르지 못하니 몸은 앞쪽으로 기울어 자주 넘어졌다.
찰스 디킨스는 ‘피크윅 문서’에서 바람에 날아간 모자를 잡는 방법을 이렇게 묘사했다.
‘계속 굴러가는 모자를 다시 잡는 데 필요한 것은 약간의 침착함이 아니라 비상한 판단력이다. 너무 성급하면 모자를 지나쳐 넘어지게 된다. 너무 천천히 가면 모자를 영영 놓친다. 모자를 잡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렇다. 추적의 대상과 가능한 한 동일선상에 머무르면서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때를 기다린다. 천천히 모자에 다가가다 갑자기 손을 뻗쳐 모자 테를 잡는다. 그리고 모자를 머리에 꽉 눌러쓴다. 그러면서 계속 웃는 것이 좋다. 모자를 잡기 위한 그 모든 일에, 구경하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재미를 느끼는 것처럼.’
서두는 만큼 실수가 잦은 그분에게 피에르 상소의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선물한 기억이 있다. 책 속에서 저자는 2000년에 접어들 무렵을 이미 ‘현기증 나도록 빨리 돌아가는 현대’라고 했다. 지금 20, 30대가 그 시절을 접한다면 짜증 나도록 느린 세상에 코웃음을 칠 텐데…. 당시 그 책은 1, 2권 연달아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어느 시대에나 사람들은 속도 경쟁에 멀미를 느끼며 살게 돼 있는 모양이다.
동유럽에서 전해지는 우화 가운데 이런 내용이 있다.
“주위를 쳐다보지도 않은 채 바쁘게 걸어가는 사람을 보고 토끼가 물었다. ‘무엇 때문에 그렇게 급하게 가고 있니?’ 사람이 대답했다. ‘나의 일을 쫓아가고 있어.’ 토끼가 다시 물었다. ‘그런데 네가 일을 쫓아가야 할 정도로 일이 너를 앞서서 달리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지? 그 일이 네 등 뒤에 있을지도 모르잖아. 그러면 그냥 멈추기만 하면 만나게 될 텐데. 지금 너는 일로부터 도망치고 있는 것인지도 몰라.’”
한때는 앞뒤 옆을 돌아볼 새 없이 일만 쫓아다닌 적이 있으나, 이젠 읽는 속도를 조절할 일만 남았다. 어차피 나이가 들면 소화력도 떨어진다. 사람을 읽는 일도, 책을 읽는 것도, 느긋하게 과정을 즐겨야 할 것이다.
다만, 남은 무더위의 시간만큼은 빠르게 흘러가기를, 아울러 세상의 모든 아픈 사람이 건강하게 회복되는 시간도 최대한 당겨지기를 비는 마음은 예외로 한다.
2018-08-0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