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백조가 흑조 되는 날/장인주 무용평론가

[문화마당] 백조가 흑조 되는 날/장인주 무용평론가

입력 2023-06-22 02:02
업데이트 2023-06-22 0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인주 무용평론가
장인주 무용평론가
전 세계인이 가장 사랑하는 발레 작품은 단연코 ‘백조의 호수’다. 1877년 처음 발표된 안무작은 실패했지만 차이콥스키의 아름다운 음악은 살아남았고, 그 음악에 맞춰 1895년 만들어진 작품이 지금까지 생명을 이어 오고 있다. 세계 유명 발레단이라면 고유 버전을 하나씩 갖고 있을 만큼 ‘고전발레의 고전’이라고 불린다. 발레 작품 중 ‘으뜸’이라는 뜻이다.

‘백조의 호수’의 주인공 백조 ‘오데트’는 흑조 ‘오딜’ 역까지 1인 2역을 맡아야 한다. 나약하고 청순한 백조와 강하고 사악한 흑조를 모두 소화해야 하니 이중인격을 표현하기 위해 자기 최면까지 불사할 정도다. 차이콥스키는 이미 백조를 위한 음악은 단조로, 흑조의 음악은 장조로 구분했지만, 대사 하나 없는 발레 작품에서 몸짓과 표정만으로 극과 극의 성격을 드러내기란 결코 쉽지 않다.

이런 주역 발레리나의 고뇌를 잘 드러낸 영화가 바로 ‘블랙 스완’이다. 2011년 내털리 포트먼이 백조의 본성을 가졌지만 흑조가 돼야 하는 심리적 갈등을 잘 묘사해 극찬을 받았다. 체중 감량은 물론 혹독한 발레 수업까지 감당하면서 열연했고, 그 결과 같은 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까지 거머쥐었다. 영화의 안무를 맡은 뱅자맹 밀피에와는 백년가약을 맺었으니 포트먼에게는 명성과 가족을 얻게 한 복덩이 출연작으로 남았다.

영화의 성공은 대중적으로 백조 캐릭터를 각인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방탄소년단은 2020년 ‘블랙 스완’을 발표했다. ‘무용수는 두 번 죽는다. 첫 번째 죽음은 무용수가 춤을 그만둘 때인데 이 죽음은 훨씬 고통스럽다’는 현대무용의 어머니 마사 그레이엄의 명언을 모티브로 더이상 무대에 서지 못하게 되는 순간에 대한 두려움을 노래했다. 멤버 모두 흰색, 검은색 옷을 입은 두 버전과 현대무용을 전공한 지민의 독무 영상까지 세계적 관심을 끌면서 슬로베니아 현대무용단의 퍼포먼스로 재해석한 아트 필름까지 만들어졌다. 이런 열풍의 영향일까. 같은 해 국내 가요계에 동명의 다국적 걸그룹도 데뷔했다.
이미지 확대
앙줄랭 프렐조카주 안무 ‘백조의 호수’ 공연 장면. LG 아트센터 제공
앙줄랭 프렐조카주 안무 ‘백조의 호수’ 공연 장면.
LG 아트센터 제공
‘백조의 호수’가 무용계의 관심 밖으로도 벗어난 적이 없다. 고전발레는 고전대로 스타 배출의 요람이 됐고 각기 다른 해석의 모던발레가 속출했다. 그중에서 ‘대머리 백조’로 유명한 스웨덴 안무가 마츠 에크의 재해석작과 영화 ‘빌리 엘리어트’의 마지막 장면에 삽입된 영국 안무가 매튜 본의 남성 백조 버전이 대표적이다.

현대무용계 거장 앙줄랭 프렐조카주도 도전했다. ‘로미오와 줄리엣’ 등 고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해석해 성공했고, 발레와 현대무용의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세계적으로 몇 안 되는 안무가 중 한 명이기에 그의 분석에 더욱 주목했다. 오데트는 환경운동가, 지크프리트 왕자는 시추장비 개발회사 후계자라는 설정과 조명·영상으로 무대 세트를 대신한 연출, 현대음악에 맞춘 군무 등은 독창적이다.

프렐조카주는 ‘백조의 호수’를 ‘발레의 에베레스트’라고 정의했다. 그만큼 잘 알려진 작품이고, 정복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2020년 10월 프랑스에서 초연된 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러브콜을 받고 있는데, 22일부터 25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시그니처홀에서 만나 볼 수 있다. 오염된 환경 속에서 백조가 백조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 발레 한 편에 담긴 메시지가 심오하다.
2023-06-22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