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성사 건물 개축 소식을 전한 1918년 12월 21일자 매일신보 광고.
처음 문을 열었을 때 단성사는 2층 목조 건물이었는데 1908년 붕괴 사고로 문을 닫았다. 이후 기사와 광고를 보면 일제강점기에만 세 차례 건물을 신축 또는 개축했다. 1914년 1월 현대식 건물로 신축해(매일신보 1914년 1월 17일자) 전통 연희 공연장으로 이용했다. 1918년 단성사를 인수한 박승필은 건물을 확장해 상설 영화상영관으로 바꾸었다. 위 광고는 단성사 신축 낙성(사실은 신축이 아닌 개축) 소식을 전하는 한편 대대적으로 영화를 상영한다고 알리고 있다. 광고 속 신축 건물 사진의 오른쪽 위에 박승필의 작은 얼굴 사진을 넣었다. 박승필(1875~1932)은 1904년 광무대를 설립해 판소리와 창극을 공연함으로써 전통 예술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일을 했다. 단성사를 인수한 후에는 영화 상영뿐만 아니라 1919년 우리나라 최초의 연쇄극인 ‘의리적 구투’(義理的 仇鬪)를 제작해 단성사에서 상영한 한국 영화 제작의 선구자로 불린다. 연쇄극은 영화와 연극을 섞은 특수한 연극을 말하는데 연쇄극이지만 의리적 구투는 한국 최초의 영화로 인정을 받는다.
관주(館主) 박승필이 직접 설명하는 형식의 광고는 당대 최고의 변사 서상호를 초빙해 변사주임으로 정했으며 ‘천연한 표정과 그럴듯한 익살을 잘 부리는 변사, 희로애락을 기묘하게 자아내는 오륙 명의 변사를 데리고 있는 것이 자랑’이라고 홍보하고 있다. 광고 속의 단성사 건물은 ‘초현대식 건물’로 다시 신축돼 1934년 12월 22일 성대한 낙성식이 열렸다. 낙성식에서는 영화를 상영하고 댄스파티를 했다고 한다(매일신보 1934년 12월 23일자). 이때 신축한 단성사 건물의 전면에 ‘團成社’(단성사)라는 한자로 쓴 간판이 붙어 있고 여섯 개의 둥근 창이 있는, 중장년층에게 가장 익숙한 건물로 2001년 헐릴 때까지 65년 동안 한국 영화의 요람 역할을 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0-09-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