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매일신보에 난 동아일보 창간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근대광고 엿보기] 매일신보에 난 동아일보 창간 광고/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0-11 17:12
업데이트 2020-10-1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20년 3월 28일 자 매일신보에 실린 동아일보 창간 광고.
1920년 3월 28일 자 매일신보에 실린 동아일보 창간 광고.
무단통치로 조선인의 반발을 불렀다고 판단한 일제가 3·1운동 이후 채택한 통치 방식이 이른바 문화통치다. 문화통치의 일환으로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대일보 등의 신문과 개벽, 신천지, 조선지광 등의 잡지 발행이 허가됐다. 1920년 4월 1일 자인 동아일보 창간 광고가 매일신보에 실렸다. 조선일보가 발행 초기에 친일파 송병준이 판권을 소유하는 등 애초에 친일지로 출발했다면 동아일보는 민족지를 표방했다고 한다.

그러나 동아일보 창간 광고에 실린 초창기 간부들의 이름을 보면 반일 민족지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초대 사장 박영효는 알다시피 갑신정변의 주역으로 1939년 사망할 때까지 일제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경성방직 사장, 중추원 고문 등 여러 직책을 맡으며 일제에 협력했다.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돼 있다. 편집감독이라는 자리에는 유근과 양기탁의 이름이 쓰여 있다. 유근은 황성신문을 창간해 항일 논지를 편 당시 원로 언론인이었고 양기탁 또한 영국인 베델과 함께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고 주필을 맡아 항일의 필봉을 휘두른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다. 감독이라는 직책은 고문격으로 역할이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편집국장 이상협은 일제강점기 언론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일본 게이오대학에서 수학한 그는 매일신보에서 기자 수업을 받았고 편집국장과 발행인, 편집인 등을 맡았다. 동아일보 창간 멤버로 들어가 편집국장, 발행인 겸 편집인 등을 지냈다. 이후 그는 조선일보 이사·고문으로 한국 최초의 신문 시사만화 ‘멍텅구리’를 연재하게 하였고 지면을 쇄신했다. 1926년에는 중외일보를 창간하고 1933년 다시 매일신보에 입사, 1940년 9월까지 이사로 일하며 제호 변경을 주도했다. 20여년 동안 여러 신문에서 일한 신문 제작의 귀재였던 이상협은 일제를 비판하는 글을 쓰기도 했지만, 매일신보에서는 총독 정치를 홍보하고 언론 통제 정책에 협조하며 전쟁 동원에 앞장섰다. 1949년 반민특위에 구속됐다가 풀려났다.

주간(主幹) 장덕수는 2·8독립선언에 가담하기도 한 독립운동가였지만 친일로 전향했다. 논설반 기자(논설위원) 진학문은 1937년 만주국 내무국 참사관에 임명된 후 친일활동을 했고 1945년 조선총독의 자문기구인 중추원 참의에 임명됐다. 김명식은 일본 유학 중에 2·8독립선언에 참여하고 신간회 제주지회장을 맡은 공훈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고 박일병도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로 애국장을 받았다. 친일파와 반일파가 섞여 있었던 셈이다.

sonsj@seoul.co.kr

2020-10-12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