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자동화로 불어닥친 교환원들의 실직 문제를 다룬 기사(동아일보 1985년 2월 27일자).
교환수를 여자로 바꾼 것은 1910년대 말이다. 문제는 야근이었는데 어린 딸이 밤에 바깥에 있는 것은 위험하다며 부모들이 취업을 반대했다. 전화국 측은 도착 시각과 집에 간 시각을 일일이 기입해 두고 “조금만 차이 나도 엄중히 취조하겠다”며 설득했다(동아일보 1920년 4월 12일자). ‘비둘기집’을 부른 가수 이석의 어머니 홍정순씨도 창덕궁 교환수로 일했다고 한다. 감정노동자로서 전화 교환수의 애로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시골 노인들이 호령을 하거나 욕설을 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게다가 1931년 경성중앙전화국의 경우 교환 횟수가 1시간에 200회가 넘을 정도로 고된 직업이었다.
광복 후 전화 교환수는 계속 늘어 1980년 초 전국적으로 1만 80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거대 직업이 됐다. 당시까지는 교환수가 모두 여성 ‘교환양(孃)’이었는데 1981년 남성 ‘교환군(君)’ 3명이 채용돼 금남(禁男)의 영역이 깨졌다. 남자 교환수가 등장하자 전화를 건 사람들이 잘못 걸었다고 전화를 끊어버리기 일쑤였으며 남자 교환수들은 침실이 없어 야근에서 제외되는 ‘특혜’를 받았다고 한다.
교환수를 통한 시외전화 연결에 30분이 넘게 걸리는 일이 다반사여서 전화 고객의 불평을 무조건 나무랄 수만은 없었다. 그러나 1분에 서너 통을 연결해 줘야 하는 힘든 업무와 성희롱 등 교환수들의 고충은 시대가 바뀌었다고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다. 무조건 소리를 지르는 고함형, 쉴 새 없이 독촉을 해대는 안달형, 계속 투덜대는 답답형, 무조건 반말을 하는 시건방형 등으로 전화 고객을 분류한 것은 시외 담당 교환수들이 쓴 글에 들어 있는 내용이다. 호텔이나 기업체 등에도 구내전화 교환수들이 있었는데 직업적인 고통은 더 컸다. 호텔 투숙객들이 밤중에 교환수에게 전화를 걸어 술주정을 하거나 고래고래 고함을 지르고 음담패설을 늘어놓기도 했지만 고객이다 보니 싸울 수도 없었다(경향신문 1979년 10월 22일자).
1971년 3월 서울~부산 간 장거리자동전화(DDD)가 개통됐다. 계속해서 전국 전화 자동화가 완료되고 무선전화가 나오면서 교환수도 필요 없게 됐다. 전화국 교환수가 없어진 1980년대 말 이들의 일자리 보장을 놓고 갈등이 벌어졌는데 현재 톨게이트 수납원들도 똑같은 과정을 겪고 있다.
2019-12-0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