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광화문 앞마당의 역사성/홍순민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

[시론] 광화문 앞마당의 역사성/홍순민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

입력 2019-03-11 22:42
수정 2019-03-12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홍순민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
홍순민 명지대 기록정보과학대학원 교수
사람이 사는 공간에는 시간이 고여 있고 역사가 스며들어 있다. 역사는 추상적인 관념 속이 아니라 구체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공간을 잘 가꾸고 사는 것은 역사를 잘 이어 가는 방편의 하나다.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 광화문 앞은 언필칭 국가의 상징 거리다. 하지만 지금 이 공간은 과연 본래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광화문 앞 이 공간은 지금 도로인가, 광장인가, 아니면 공원인가.

광화문 바로 앞은 사직로가 가로지른다. 광화문에서 남쪽으로는 세종대로가 뻗어 있다. 이렇게 보면 도로다. 그런데 세종대로 한가운데 광장이 들어 있다. 광장은 도로로 둘러싸여 있어 ‘세계 최대의 중앙분리대’라는 반갑지 않은 별명을 얻고 있다. 광화문 앞 바로 동쪽은 의정부 터였는데, 시민공원이 됐다가 현재는 의정부 터 발굴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북쪽에는 소공원이 있다.

공간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하다 보니 관리 담당 관서도 나뉘어 있다. 광화문은 문화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도로의 신호 및 운행과 관련한 업무는 경찰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도로 시설, 광장, 소공원 관리는 서울시청 몫이다. 이른바 ‘삼청시대’다. 세 관서가 각자 몫을 다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이 관서들을 상위에서 통합하고 조정하는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 공간은 끊기고 막혀 있다. 우선 동선이 끊겨 있다. 광화문 네거리에서 광화문을 바라보면서 곧바로 걸어갈 수가 없다. 이리저리 건널목을 찾아 건너야 한다. 시야도 막혀 있다. 이순신 장군 동상과 세종대왕 동상이 정면을 가로막는다. 좌우에는 빌딩들이 늘어서 있다. 광화문과 그 너머 경복궁과 서울을 품고 있는 백악산과 인왕산, 그리고 더 뒤편에서 받쳐 주는 북한산을 볼 수가 없다.

그렇다 보니 공간에서 역사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다. 중세 조선의 공간 경복궁은 현대 서울의 이 공간과 떨어져 있다.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이 그러한 사정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지금의 광화문은 불구다. 최근에 새로 지었지만 온전하지 못하다.

과거에는 궁궐이 높은 곳이듯 그 정문도 높았다. 지표면보다 높게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문을 지었다. 그 기단을 앞으로 넓게 내쌓았다. 이를 ‘월대’라 한다. 임금과 백성이 만나는 소통의 공간이자 각종 행사를 치르는 공적인 시설이었다. 그런데 지금 월대는 사라졌다.

월대 앞에 놓여 있어 궁궐 영역임을 표시해 임금을 제외한 사람들은 모두 말이나 가마 같은 탈것에서 내리라는 뜻을 전하던 ‘해태’는 제자리를 잃고 궁성 가까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금의 상태 그대로 사는 데 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광장을 조성한 지 10년 만에 또다시 공사를 벌이는 데 대해서 비판하고 반대하는 의견도 일리가 없지 않다. 하지만 그 논리대로라면 이 공간이 국가 상징 거리라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 그대로 갈 수도 있지만, 문제가 있다면 고칠 수도 있다. 선택의 문제다.

역사성을 찾자는 말은 옛날로 돌아가자는 말이 아니다. 그럴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왕조는 사라졌다. 그런 가운데 경복궁과 광화문은 불구로나마 남아서 중세 역사를 보여 주고 있다. 의정부 터가 땅 속에서 드러나고 있다. 이런 흔적들, 옛것은 보존할 의무가 있다. 불구가 된 부분은 가능하다면 온전한 모습을 찾아 줄 필요가 있다.

역사성을 찾자는 말은 과거의 흔적을 소중히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과 함께 이 공간에 담겨 있는 역사를 되새기고 현재의 역사를 만들어 가며 미래의 역사를 전망하도록 꾸미자는 말이다. 새로운 시설물을 들이고 공간을 꾸미고 도시를 가꾸어 나갈 때 역사의 흐름을 잇는 방향으로 가는 게 마땅하다.

서울이 600년 수도 역사 도시요, 문화 도시라는 데 반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역사 도시 서울”이라는 구호가 공허한 표방으로 그치지 않았으면 한다. 광화문 앞 공간을 다시 꾸미는 일이 서울을 역사 도시답게 가꾸는 진지한 시도가 됐으면 좋겠다.

광화문이라는 지점이 서울을 둘러보는 기점이 돼야 한다. 여기서 길들이 뻗어 나가 서울 한양도성 안을 두루두루 이어 주는 기능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서울 시민을 비롯해 온 국민의 마음이 모여들어서, 부딪치고 섞이고 버무려져서 하나가 되는 마당으로 자리잡기를 바란다.
2019-03-12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