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은귀의 詩와 視線] 나였던 그 아이/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나였던 그 아이/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2-09-28 20:32
업데이트 2022-09-29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 속에 있나 아님 사라졌나

나 그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 또

그는 날 사랑하지 않았단 걸 알까

왜 우린 헤어지기 위해 자라는데

그렇게나 많은 시간을 썼을까?

―파블로 네루다, ‘질문의 책, 44’ 중

서랍 정리를 하다 20년 전에 쓰던 수첩을 마주한다. 정갈한 손 글씨로 그날그날 일정과 다짐, 시 구절을 빼곡하게 적어 놓았다. 옛 기억을 헤집는 일에 마음 빼앗겨 찬찬히 읽어 보다 문득 궁금해진다.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로 갔나? 나란 사람이 성장해 온 걸까, 퇴보한 것일까, 아니면 여전히 맴을 돌듯 제자리인가?

질문하는 형식으로 엮은 네루다의 시집은 머리맡에 두고 자주 읽는 편이다. 시 속의 화자가 지금의 나보다 나이를 더 먹었는지, 시인이 돌아보는 아이가 수첩 속의 나보다 더 어린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 시의 질문들은 그 자체로 답이다. “왜 우린 헤어지기 위해 자라는데/그렇게나 많은 시간을 썼을까?” 여기서 ‘헤어지기 위해’의 목적어가 분명하지 않다. 우리가 헤어지는 대상은 내가 사랑했던 그 혹은 그녀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게 아니라 내가 될 수도 있다. 어제의 나와 작별하고 오늘을 시작하고, 오늘의 나와 작별한 내가 내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명쾌하고 상쾌한 깨달음이라니. 시는 이렇게 끝난다. “내 어린 시절이 죽었는데/왜 우리는 둘 다 죽지 않았을까?//내 영혼은 떨어져 나가는데 내 해골은 왜 나를 좇고 있지?” 어린 시절은 갔지만 나도, 내 사랑도 죽지 않고 어디선가 각자 살아 있는 자명한 현실. 영혼이 떨어져 나간 해골에 좇기는 신세가 되었어도 그다지 아프지는 않다. 나는 어제의 나와 작별하고 다시 태어났으니. 내일의 나는 더 가볍고 새로워질 것이니.

네루다의 시와 옛 수첩의 글귀들을 함께 읽는 오늘은 어제와 얼마나 다른지. “일은 완벽하게 끝을 보려 하지 말고/세력은 끝까지 의지하지 말고/말은 끝까지 다하지 말고/복은 끝까지 다 누리지 말라” ‘공여일록’의 글과 기도 말씀과 일정과 다짐이 빼곡히 적힌 옛 수첩의 노릿한 종이를 다시 본다. 이 글들은 여전히 오늘의 내게도 머문다. 어떤 작별도 완벽하지는 않고 늘 도돌이표로 돌아가는 우리이기에 시인의 시선에 기대어 나는 중얼거린다. 어제와 헤어지는 나, 제법 괜찮다고. 당신과 헤어지는 게 아니고 내가 나와 헤어지는 거라고. 나였던 그 아이도, 당신이었던 당신도 이젠 찾지 않을 거라고.

이젠 수첩 대신 클라우드(하늘 위 구름이 아닌 컴퓨터 저장장치)가 나의 계획과 다짐과 기억과 흔적과 이별을 대신하고 있다.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는 그대로 휘발되는 것도 같다. 하지만 그마저 무심해질 수 있는 별리의 자유를 얻었으니 괜찮다. 올가을, 나는 나였던 그 아이를 많이 지웠다. 홀가분하다.
2022-09-29 2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