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면서 많은 선택을 한다. 선택은 중요하다. ‘여지껏 내린 선택의 총합이 곧 나’라는 말도 있다. 확신에 찬 단호한 선택도 있고, 우물쭈물 엉겁결에 한 선택도 있다. 인생의 방향을 바꾸는 중요한 선택도, 하찮고 대수롭지 않은 선택도 있다. 때론 무심코 내린 선택이 뜻하지 않은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황야의 헌책방’은 일본 도쿄의 작은 헌책방 주인인 모리오카 요시유키가 8년을 일하던 고서점에서 독립해 자기 서점을 차리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부제는 ‘모리오카 서점 분투기’.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2006년에 잇세이도 서점에서 독립한 저는 1927년에 지은 가에바초의 한 건물에 ‘모리오카 서점’을 열었습니다. 원래 독립해 개업한다는 선택지는 없었지만, 그 건물의 모습에 끌려 결단한 일이었습니다.” 저자는 원래 독립이나 개업은커녕 취직 자체에도 회의적이었다는데, 대체 그 낡은 건물의 무엇에 마음이 흔들려 그런 선택을 한 걸까.
우리도 때론 모리오카처럼 홀리기라도 한 듯 의외의 결정을 내린다. 직업 선택이나 결혼 상대 결정도 그 결심의 원인을 100% 명확히 대답하진 못한다. 이 ‘알 수 없는 선택’의 이유가 궁금했던 사람들은 오랜 세월 여러 설명을 찾아 왔다. 사주에 타고났다느니, 별자리에 의한 운명이라느니, 조상의 묫자리 때문이라느니. 정신의학의 답변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찾아낸 ‘무의식’이다. 표면적으론 이유를 알 수 없는 선택이지만, 의식하지 못할 뿐 그 선택에는 다 이유가 있고, 그것은 우리의 무의식에 들어 있다는 것. 이것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선택에 대한 프로이트적인 해석이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무의식은 일종의 숨겨진 창고다. 의식 선상에 떠오르면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 여러 가지 갈등을 의식의 수면 아래로 깊이 감추어 둔 곳. 함부로 꺼내거나 헤집으면 안 되기 때문에 창고 앞엔 무서운 문지기도 서 있다. 그래서 그곳에 감춰진 마음의 전모를 일상 속의 우리는 알지 못한다. 가끔 별 이유 없이 마음이 아플 때, 이해가 되지 않는 실수를 했을 때, 혹은 (모리오카의 경우처럼) 뭔가 난데없는 선택을 할 때 막연히 그 무의식의 일면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뭔가를 선택하고 그 이유가 궁금해지는 것은 정신과 의사도 마찬가지다. 얼마 전 오래 일하던 병원을 사직하고 작은 개인 의원을 열었다. 인테리어를 하고 관공서 인허가를 받는 등 바쁘고 정신없는 시간들이 흘러 드디어 개업 전날이 됐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나는 왜 개업을 하는 거지?’ 물론 누가 물어보면 대답하는 ‘공식적인 개업의 이유’는 있지만 왠지 그건 사실이 아닌 것 같았다.
문득 오래전 읽은 모리오카 서점의 개업 분투기가 떠올랐다. 건물의 모습에 마음이 끌려서 개업했다는 그의 무의식 속엔 뭔가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새로운 도전을 한 나의 무의식에도 그런 것이 있었을 것이다. 혹시 뭔가를 선택한 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한번 이야기해 보고 싶다. 왜 그런 선택을 하셨는지, 같이 한번 생각해 볼까요?
이효근 정신과의사
‘황야의 헌책방’은 일본 도쿄의 작은 헌책방 주인인 모리오카 요시유키가 8년을 일하던 고서점에서 독립해 자기 서점을 차리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부제는 ‘모리오카 서점 분투기’.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2006년에 잇세이도 서점에서 독립한 저는 1927년에 지은 가에바초의 한 건물에 ‘모리오카 서점’을 열었습니다. 원래 독립해 개업한다는 선택지는 없었지만, 그 건물의 모습에 끌려 결단한 일이었습니다.” 저자는 원래 독립이나 개업은커녕 취직 자체에도 회의적이었다는데, 대체 그 낡은 건물의 무엇에 마음이 흔들려 그런 선택을 한 걸까.
우리도 때론 모리오카처럼 홀리기라도 한 듯 의외의 결정을 내린다. 직업 선택이나 결혼 상대 결정도 그 결심의 원인을 100% 명확히 대답하진 못한다. 이 ‘알 수 없는 선택’의 이유가 궁금했던 사람들은 오랜 세월 여러 설명을 찾아 왔다. 사주에 타고났다느니, 별자리에 의한 운명이라느니, 조상의 묫자리 때문이라느니. 정신의학의 답변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찾아낸 ‘무의식’이다. 표면적으론 이유를 알 수 없는 선택이지만, 의식하지 못할 뿐 그 선택에는 다 이유가 있고, 그것은 우리의 무의식에 들어 있다는 것. 이것이 이유를 알 수 없는 선택에 대한 프로이트적인 해석이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무의식은 일종의 숨겨진 창고다. 의식 선상에 떠오르면 마음을 불편하게 만들 여러 가지 갈등을 의식의 수면 아래로 깊이 감추어 둔 곳. 함부로 꺼내거나 헤집으면 안 되기 때문에 창고 앞엔 무서운 문지기도 서 있다. 그래서 그곳에 감춰진 마음의 전모를 일상 속의 우리는 알지 못한다. 가끔 별 이유 없이 마음이 아플 때, 이해가 되지 않는 실수를 했을 때, 혹은 (모리오카의 경우처럼) 뭔가 난데없는 선택을 할 때 막연히 그 무의식의 일면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뭔가를 선택하고 그 이유가 궁금해지는 것은 정신과 의사도 마찬가지다. 얼마 전 오래 일하던 병원을 사직하고 작은 개인 의원을 열었다. 인테리어를 하고 관공서 인허가를 받는 등 바쁘고 정신없는 시간들이 흘러 드디어 개업 전날이 됐는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나는 왜 개업을 하는 거지?’ 물론 누가 물어보면 대답하는 ‘공식적인 개업의 이유’는 있지만 왠지 그건 사실이 아닌 것 같았다.
문득 오래전 읽은 모리오카 서점의 개업 분투기가 떠올랐다. 건물의 모습에 마음이 끌려서 개업했다는 그의 무의식 속엔 뭔가 다른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새로운 도전을 한 나의 무의식에도 그런 것이 있었을 것이다. 혹시 뭔가를 선택한 뒤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있다면 한번 이야기해 보고 싶다. 왜 그런 선택을 하셨는지, 같이 한번 생각해 볼까요?
이효근 정신과의사
이효근 정신과의사
2024-06-0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