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배려의 정량적 한계/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배려의 정량적 한계/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입력 2022-05-02 20:32
업데이트 2022-05-03 0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집에서 차를 몰고 큰 도로로 나가려면 편도 2차선을 지나야 한다. 1차로는 좌회전과 직진, 2차로는 직진과 우회전용이다. 교통신호 대기 중 2차로가 비면 바로 나갈 수 있어 좋다. 반면 그 차로에 차가 있는 경우 직진 신호가 떨어져도 막히는 게 다반사다.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에 막혀 우회전을 못 하고 대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보통 직진 차량이라면 1차로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2차로를 비워 주는 일종의 배려가 암묵적으로 있다. 얼마 전 길을 나서다 ‘나는 몇 대까지 견딜 수 있을까?’라는 엉뚱한 생각을 했다. 만일 서너 대 정도가 1차로에 서 있다면 별 생각 없이 줄을 설 테지만 8대가 서 있다면 이번 신호에 넘어가지 못할 수 있으니. 공동체 안 배려의 한계를 숫자로 셀 수 있는 상황이었다.

기억을 확장해 보니 우측 차선이 잘 비는 곳은 지역에 매일 다니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곳이 많다. 모르는 동네에서 실수로 우측 차선으로 가다 신호에 걸리면 왠지 모를 뜨거운 시선의 레이저를 뒤통수에서 느낀다. 경적 소리를 안 들으면 다행이고. 반면 인연 없는 차들이 오고 가는 번화가는 직진 차들이 무심하게 줄을 선다. 첫 번째 차만 되지 않는다면 별 생각 없이 그 뒤로 붙게 된다.

작은 공동체에서라면 얼굴 볼 일 없지만 내 행동이 곧 되돌아온다는 걸 안다. 차 속에 있어 누가 누군지 모르니 괜찮겠지 하다 분위기가 무너져 버리면 나도 불편해질 걸 아는 덕분이다. 번화가에서는 매일 다니는 곳이라도 배려의 룰을 지킬 필요가 없는 사람이 훨씬 많다. 내가 안 지킨다고 다음에 손해를 보거나 응징당할 가능성은 떨어진다. 매일 그 길로 다니는 사람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그러니 왼쪽 차선 줄이 길다 싶으면 훌쩍 우측 차선으로 붙는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어디를 가든 잘 지키는 사람과 빨리 가는 것이 최우선인 사람은 있을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공동체의 따가운 시선과 나의 편리함 사이에서 가치관의 저울을 작동하는 것이다. 딱 한 번 가는 곳이라면 과감히 편의를 위하겠으나 매일 가는 곳이라면 내일의 나를 위해 오늘의 배려를 할 것이다. 사회심리적 작동 원리가 작은 사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작동한다. 코로나 3년차라 그런지 구급차에 차선을 비켜 주는 것은 모세의 기적이란 말을 할 필요도 없이 자연스러워졌다. 지키지 않으면 벌금을 내라는 법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배려일 때 기분도 좋아진다. 그렇지 않아도 힘든 일이 많은 시간이다. 일상에서 덜 각박하고, 여유의 숨통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스템이 보이지 않게 작동할 때 같다. 내 행동이 돌고 돌아 결국 내게 돌아올 것이란 믿음이 필요하다. 남을 위하지만 결국 나를 위한 행동들이 모여서 여유와 편리가 만들어진다.

여기까지 생각을 하고 나니 지금까지 내 기준보다 어림짐작으로 한 대까지는 더 차선 변경을 하지 않고 참아 보자는 다짐을 하게 된다. 도심이나 모르는 지역도 내가 매일 다니는 곳이라 확장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모두의 여유는 하루의 출발에서 시작하게 될 테니.

2022-05-0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