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책 단장/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책 단장/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릴 적 새 학기를 맞아 교과서를 받으면 마음이 설렜다. 아, 이제 한 학년이 올라가는구나 하는 뿌듯함이 있었다. 작심삼일이긴 해도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다짐도 컸다. 그렇기에 새 학기 교과서를 예쁘게 단장하는 것은 일종의 ‘의식’이었다. 예쁜 포장지가 없던 시절이니 주로 해묵은 달력의 글자 없는 하얀 뒷면이 포장지로 활용되곤 했다.

 점차 학년이 올라가면서 안목이 높아지고 간도 커져 과감하게 신년 달력의 멋진 풍경을 푹 찢어 책 표지로 썼다. 지금도 중학교 1학년 지리 교과서 표지가 생각난다. 호화 보트가 떠 있는 유럽의 어느 호숫가 풍경. 해외에 대한 동경이 컸던 소녀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긴 책 겉장이었다.

 감성이 풍부한 시기인 만큼 계절따라 장미꽃잎, 단풍잎, 은행나무잎 등을 잘 말려 책갈피에 꽂아 두기도 했다. 가끔 덜 마른 꽃잎이 책을 빨갛게 물들이기도 했다. 앞으로 종이 교과서는 사라지고 디지털 교과서가 등장한다고 한다. 디지털 시대가 아련한 추억까지 밀어내지나 않으려는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07-07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