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사람의 기대치/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사람의 기대치/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4-24 00:00
업데이트 2012-04-2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런저런 행사나 모임에 늦게 오거나 아예 나타나지 않는 사람은 으레 도마에 오른다. 입담 좋은 친구나 동료들이 그냥 내버려 두지 않는다. 귀가 간지러울 정도로 빈정댄다. “걔는 약속 한 번 제대로 지키는 것 못 봤어.” “걔는 왜 그렇게 맨날 늦어.” “걔, 앞으로 나오지 말라고 그래.”

이보다 더 심한 건 평소 상대방에 대한 막연한 기대치가 허물어졌을 때다. “그 친구, 그렇게 안 봤는데 너무 해.” “돈만 많으면 뭐해, 쓸 줄을 모르는데.” 기대만큼 행동이 마음에 썩 들지 않는 것이다.

반대의 얘기도 있다. “그 친구 생각보다 대단해.” “보기에는 쫀쫀한 것 같아도 통이 커.” 기대치가 낮았던 사람이 기대 이상의 행동을 했을 때 하는 칭찬이다. 사람 평가가 이렇게 확확 바뀌는 건 특정인에 대해 주위 사람들이 기대치를 미리 정해 놓고 있기 때문이다. 일방적인 기대치의 틀에 따라 함부로 재단되는 것이다. 당사자는 억울하다. 이를 고치려면 상대방에 대한 기대치는 더 낮추고 자신에 대한 기대치는 더 높여야 한다. 그래야 균형이 맞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4-2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