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모판 뜨기/박홍기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모판 뜨기/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5-23 23:20
업데이트 2017-05-24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골에서의 아침은 늘 빠르다. 두런두런하시는 소리에 깼다. 아침 5시 30분쯤, 훤했다. 밥을 먹은 뒤 들에 나갈 채비를 했다. 허름한 옷에다 장화, 장갑, 모자를 챙겼다. 농군이 따로 없다. 경운기에 올라탔다. 물이 찬 논은 거대한 거울 같았다. 써레질에 편평했다. 논물에는 파란 하늘이, 산이 있었다.

못자리는 잔디처럼 가지런했다. 아버지가 뗀 모판을 경운기에 실었다. 모처럼 힘을 썼다. 농사일, 쉽지 않다. 점점 몸에 익숙해질 즈음 사촌 형제도, 직장에 다니는 조카도, 대학생 큰애도 합류했다. 모판을 떼고, 싣고, 나르고, 내려놓고?. 착착 스스로 알아서 했다. 흐뭇해하셨다. 차가운 물과 참외를 가져오신 어머니가 “일꾼이 많아 올핸 내가 놀고 먹는다” 농담을 던지셨다.

반나절쯤 지나자 기다랗던 못자리도 사라졌다. 모판은 모내기를 할 논 가장자리에 가지런히 놓였다. 다들 얼굴엔 땀이 흐르고, 옷은 온통 논물에 젖고 얼룩졌다. “사실상 모내기도 끝. 서울 사람들, 고생했다.” 한말씀하셨다. 모내기는 이앙기의 몫이다. 대충 씻고 둘러앉아 막걸리 한 잔을 들이켰다. 마디마디 쑤시던 몸이 풀리는 듯했다.
2017-05-2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