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박물관 꼬마 손님/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박물관 꼬마 손님/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09-26 21:24
수정 2017-09-26 2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중 낮 박물관에서는 휴일에는 보기 어려운 모습을 만난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아이들이 현장학습을 하는 풍경이다. 출산율이 바닥에 떨어져 아이 울음소리 듣기 어려운 나라가 됐다. 올망졸망한 아이들이 박물관을 찾아 재잘거리는 모습이 반갑다. 오래된 것이 모여 있는 장소에 아이들이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도 하고 있다.

엊그제는 한 지역 시립박물관에서 아이들과 마주쳤다. 유물이 부족한 것은 대부분 지역 박물관이 안고 있는 고민이다. 설명 위주로 되어 있는 전시를 돌아보자니 어른도 인내가 필요했다. 서너 살짜리 아이들에게 이런 박물관 관람이란 분위기를 느끼게 해주는 것 이상의 의미를 찾기 어려웠다.

전국 지자체가 다투어 박물관을 짓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런데 외지 관광객이 중요하겠지만 우리 동네 어린이 손님에게도 ‘서비스’가 필요하다. 평일의 지역 박물관은 사실상의 어린이 박물관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당연히 손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꼬마 손님을 위한 전시와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지역 사회에 공헌하는 최고의 문화 공간이 될 수 있다.
2017-09-2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