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풋잠/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풋잠/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8-12-09 22:26
업데이트 2018-12-09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속이 꽉 찬 통배추가 쪼개진 날에는 온 집안에 풋물이 들었다. 엄마와 할머니가 손아귀 저리도록 통배추를 주무르면 풋내가 대문 너머까지 흘러넘쳤다. 배추 밑동에 딴딴하게 칼집을 넣어 종잇장처럼 좍좍 속을 가르던 두 여인은 차력사 같았다. 장독대에 허리만큼 쌓였던 그날의 배춧속보다 더 황홀한 노란색을 나는 지금도 알지 못하고.

집에서 김장을 담가 먹지 않는 집들이 많아진다. 찝찌름한 군물이 돌수록 더 깊어지는 묵은 김장의 묘미를 언젠가는 아무도 기억 못할지 모른다. 마트에 산처럼 쟁여진 통배추를 보면 물색없이 마음이 뛴다. 두어 포기라도 내 손으로 사들여 시늉이라도 해봐야 하는데. 엄마가 떠나고 해마다 기억에서 물러서는 우리 집 김치맛을 김장독 어느 구석에라도 붙들어 앉혀야 하는데.

살뜰한 지인이 텃밭의 농사가 잘됐다며 김장무며 배추 몇 포기를 챙겨 보냈다. 단물 옴팡진 것이 어지간한 사과보다 낫다. 펄펄한 무청에, 시퍼런 배추 겉잎에 풀죽었던 마음이 빳빳해진다.

무청을 데쳐 놓고 풋잠을 청해 볼까. 어쩌면 만날까. 달빛보다 흰 됫박의 왕소금과, 소금물에 숨죽여 자던 장독대의 풋배추와, 속속들이 짠물 들이느라 밤새 자반 뒤집기 했던 엄마의 풋잠을.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8-12-10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