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잃어버린 시간/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잃어버린 시간/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2-28 17:26
수정 2019-03-01 15: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갓진 시골길에서 어스름 저녁을 만나면 횡재한 기분이다. 분칠하지 않은 맨얼굴의 밤을 목격하는 일은 언제나 설렌다. 눈치 빠른 동네 백구한테 쫓겨날라, 이방인 아닌 척 낮은 담장 아래를 따박따박 걸어 보는 것이다.

굴뚝도 없는데 어디서 매캐한 불내는 퍼지는지. 어느 집 솥단지에서 밥 익는 냄새는 담장을 넘는지. 밤하늘 꽁무니까지 쏘는 조명이 나온들 육십촉 백열구만 한 게 없는 쪽마루에 반짝 등이 켜지는 순간도 만난다. 억세게 운이 좋은 날.

어린 기억에는 노을 비낀 저녁이 낯설다 다정했다 얼굴을 바꾸고는 했다. 긴 낮잠에서 깨어 두리번거리면 엄마는 곧잘 “학교 가거라” 정신이 번쩍 들게 했다. 책가방을 메고 줄달음칠 즈음에야 “밥 먹자”, 놀란 등을 쓸어 주던 말. 세상에서 가장 따뜻했던 농담.

어느 나라에서는 어스름 저녁을 ‘개와 늑대의 시간’이라 부른다. 빛과 어둠이 뒤섞여 사물을 분간하지 못하는 시간. 알아차리지 못해도 좋은 위로의 시간.

석양은 그대로인데, 빨간약 묻힌 약솜처럼 부드러운데. 위로하러 왔다가 날마다 그냥 돌아가는데도 알아보지 못한다. 허름한 골목 모퉁이에서라도 날마다 기다려 봤으면. 저녁이 발등을 적셔 이마에 고일 때까지 날마다.

sjh@seoul.co.kr
2019-03-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