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액땜/이동구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액땜/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1-22 17:38
수정 2020-01-23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언제부턴가 일상사에 꼼꼼해지고 자꾸만 되짚어 보는 버릇이 생겼다. 낯선 곳을 찾아갈 때도 주변 사람들에게 여러 번 물어보게 되고 인터넷을 뒤져 가며 또 확인해 본다. 자신감이 약해지고 있다는 징후인지 몰라도 매사에 조심스러워진다는 느낌이 든다.

최근 한 달 새 좋지 않은 일들을 여럿 겪었다. 조심한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일어나는 일도 있지만 조심하면 얼마든지 피할 수도 있는 일들도 많다. 주변에 상(喪)이 생기고, 비슷한 시기에 약간의 부주의로 손가락을 다쳐 꿰매는 시술을 받기도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독감에 걸려 2주 가까이 시달리기도 했다.

‘모질고 사나운 운수’를 ‘액’(厄)이라고 한다. 좋지 않은 일들을 겪을 때면 “액이 끼었다”며 푸념을 한다. 반면 앞으로 당할 큰 액운을 대신해 미리 다른 가벼운 고난을 겪었다고 생각하면 훨씬 마음이 가벼워진다. 최근의 좋지 않은 일들을 “액땜했다”는 말로 위안 삼아 본다.

그새 해가 바뀌었다. “건강하고 행복한 새해를 기원한다”는 인사를 건넬 때마다 마음 한 구석엔 “올해는 미리 액땜을 충분히 했으니 이제 좋은 일만 많이 생기겠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신년 운세를 따져 볼 필요도 없이 일단 ‘액땜’은 한 것으로 믿어 보고 싶다.

yidonggu@seoul.co.kr
2020-01-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