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명절 고부 갈등/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명절 고부 갈등/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20-01-28 17:38
수정 2020-01-29 02: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갈등은 오래전부터 있었던 것 같다.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 일본 등에서는 고부갈등에 대한 속담과 격언 등이 예전부터 전해왔다. ‘죽 먹은 설거지는 딸 시키고 비빔그릇 설거지는 며느리 시킨다’를 비롯해 ‘며느리가 미우면 발 뒤축이 달걀 같다고 나무란다’라는 속담까지 있다. 발 뒤축이 달걀 같다고 하는 것은 며느리에 대해 흠잡을 것이 없는 데 공연히 트집을 잡아서 억지로 잘못을 지어내는 것을 뜻한다. 고부간의 갈등은 설날과 추석 등 명절 이후에 첨예하게 나타난다. 실제로 최근 3년간 전국 법원 협의이혼 월별 신청 건수도 설·추석이 있었던 그다음 달에 이혼 신청이 늘어난다는 통계가 이를 뒷받침한다. 설 연휴 다음달의 협의이혼 신청 건수는 2017년 2월 1만 362건, 2018년 3월 1만 1116건, 지난해 3월 1만 753건으로 전달보다 808~2235건 증가했다.

우리 집안도 고부갈등이 없지 않았겠지만 2년 전 어머니의 ‘폭탄선언’으로 이런 갈등이 최근에는 없어 보인다. 어머니는 38년간 제사를 모셔온 큰 형수를 비롯해 며느리들의 노고를 인정해 제사상과 차례상 차림을 절에 맡겼다. 차례상 차리기에 해방된 네 명의 며느리들은 작년 설 연휴부터 해외·국내 여행을 하며 동서 간 우의 다지기에 여념이 없다.

jrlee@seoul.co.kr

2020-01-2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