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자존심/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자존심/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0-10-26 20:38
업데이트 2020-10-27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슨 자존심이 그렇게 강합니까. 그냥 내려놓으세요.”

몇 년 전 배가 아파 찾아간 병원에서 노년의 의사는 내 얼굴을 슬쩍 보고 청진기를 가슴에 대보더니 이렇게 철학적인 진단을 내렸다. 의학용어를 예상하고 있던 내가 의아한 표정을 짓자 의사는 계속 뜬금없는 진단을 이어간다. “여기 병원 입구에 쓰레기통 있죠? 나는 출근할 때 거기에 자존심 같은 거 모두 버리고 들어옵니다. 그 많은 환자와 간호사를 상대하며 일하는데 일일이 자존심 따지면 내가 어떻게 살겠어요?” 그는 며칠치 약을 처방해 주면서도 약보다는 자신의 ‘말 처방’이 더 중요하다는 듯 무심한 표정이었다. 환자가 줄지어 선 병원을 나오면서 보니 입구에 정말 쓰레기통이 있었다.

그 후로도 내 성격은 잘 고쳐지지 않았다. 하지만 속이 아플 때는 ‘내가 또 자존심을 부리고 있구나’라고 생각하게 됐고, 그러면 통증이 사라졌다. 얼마 전 모처럼 그 병원 근처를 지나가다 병원 건물이 없어진 것을 발견했다. 알아 보니 그 의사가 은퇴해서 병원이 폐업됐다고 한다. 그가 명의가 아니었다면 나는 또 아파서 그를 다시 만날 수 있었을 텐데…. 평생을 자존심과 싸워 온 그 의사의 노후가 이제 그만 편안하기를 평생을 자존심과 싸우고 있는 ‘전직 환자’가 기도한다.

carlos@seoul.co.kr

2020-10-27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