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한국의 고3/전경하 논설위원

[길섶에서] 한국의 고3/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1-08-24 16:48
업데이트 2021-08-25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아들 친구 엄마로부터 연락이 왔다. 잠깐 보자고. 번개모임을 가끔 했고, 만난 지도 제법 돼 흔쾌히 만나러 갔다. 고3 학부모들답게 수험생 뒷바라지의 속상함을 서로 털어놓고 위로했다.

올 3월 학부모총회에 갔을 때 담임이 이런 이야기를 했다. 고3이 벼슬도 아니고, 고3 엄마가 죄인이 아닌 것도 맞다. 하지만 고3이 느끼는 중압감을 생각하면 벼슬이고 죄인이다. 애들이랑 부딪치지 말고 챙겨 주는 것만 해라. 아들을 대학에 보낸 본인 경험에서 나온 말이었다. 무슨 소리인가 했는데 수능 시험일이 다가올수록 공감이 됐다.

요즘 들어 고3 쌍둥이들은 평소보다 예민하고 화를 잘낸다. 그리고 자꾸 지친다. 수능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는 모양이다. 외신이 ‘시험을 위해 멈춘 한국’이라고 평가할 정도니 당사자들은 오죽할까. 수능날 수험생 이동을 위해 금융시장이 한 시간 늦게 시작되고, 영어 듣기평가 시험 시간에 비행기가 뜨지 않는다고 외신들은 종종 보도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택한 입시 방법에 따라 고등학교 3년 내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 보니 대학에 들어간 뒤 번아웃증후군을 호소하는 경우도 제법 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공부, 어느 것이 인생에 더 유익한 걸까.

전경하 논설위원 lark3@seoul.co.kr
2021-08-25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