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갓/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갓/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1-10-27 20:22
업데이트 2021-10-28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득련의 ‘환구음초’를 흥미롭게 읽은 적이 있다. 1896년 고종 황제의 명으로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돌아온 민영환 특명전권공사를 수행한 과정을 담은 기행시집이다. 김득련은 문장에 능한 한어역관, 곧 중국어 통역관으로 직책은 참서관(參書官)이었으니 사신행차 기간 벌어진 온갖 일을 자세히 기록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었다.

일행은 4월 1일 제물포에서 배를 타고 출발해 중국 상하이와 일본 요코하마, 캐나다 밴쿠버, 미국 뉴욕, 영국 리버풀, 독일 베를린, 폴란드 바르샤바를 거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다시 모스크바에서 시베리아를 횡단한 다음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배를 타고 부산을 경유해 서울에 돌아온 것이 10월 20일이었으니 7개월에 육박하는 기간 지구를 거의 한 바퀴 돈 것이나 다름없는 대여정이었다.

김건 주영 한국대사가 갓을 쓴 도포 차림으로 버킹엄궁을 찾아 윈저성에 있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화상으로 신임장을 제정하는 모습이 뉴스에 비쳤다. 민영환은 관복과 관모 차림의 사진 한 장을 남겼다. 민영환은 그 먼길을 가고도 모자를 썼다는 이유로 대관식장에는 입장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주영대사의 갓 쓴 차림에 생각이 많아진다.

서동철 논설위원 sol@seoul.co.kr
2021-10-2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