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밍아웃/박홍환 평화연구소장

[길섶에서] 밍아웃/박홍환 평화연구소장

박홍환 기자
입력 2022-05-26 20:30
수정 2022-05-27 01: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엘리베이터에 탄 젊은 남녀가 의식 없이 크게 떠드는 소리에 살짝 언짢아졌다. 여성은 회사에서 있었던 기분 상했던 일을 따발총처럼 쏟아냈고, 동료로 추정되는 남성은 맞장구치며 언성을 높였다. 그러곤 여성이 결론을 낸 듯 한마디 꺼냈다. “아무래도 내일 출근해서 밍아웃해야 할까 봐.”

밍아웃? 고개를 갸웃했는데 검색해 보니 성소수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낼 때 사용하는 ‘커밍아웃’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한다. 어떤 분야의 마니아임을 밝히는 ‘덕밍아웃’, 누군가의 SNS 팔로어임을 밝히는 ‘8밍아웃’ 등 자신이 밝히고자 하는 정체성 뒤에 접미사처럼 붙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결국 그 여성은 회사에서 자기가 어떤 사람임을 공개적으로 밝히겠다는 것이었다.

축약어와 신조어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추세를 못 따라가면 ‘꼰대’ 취급받기 십상이다. 헌데 허덕거리며 쫓아가면 이미 ‘아재말’로 변해 있는 경우가 허다하지 않은가. 난감, 또 난감이다.

2022-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