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헌혈/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헌혈/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2-08-29 20:34
수정 2022-08-30 02: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매혈(賣血), 즉 피를 팔아서 생계를 전전하는 허삼관은 피를 뽑기 전 이뿌리가 시큰해질 때까지 물을 들이켠다. 일부러 피를 묽게 하고 피의 양을 많게 하려고 오줌도 싸지 않는다. 피를 뽑고 나서는 보혈(補血)한다며 돼지간볶음에 데운 황주 두 냥을 마신다. 소설 ‘허삼관 매혈기’는 1966~1976년 문화대혁명 시기를 건너온 중국 소시민의 가난과 슬픔이 버무려진 일상을 해학적으로 담았다.

첫 헌혈이 기억난다. 삼십몇 년 전 헌혈차가 학교를 찾아왔다. 교감, 담임 선생님도 나서서 독려했다. 사실상 ‘반강제적’ 헌혈이었다. 그래도 더벅머리들은 헌혈 뒤 나눠 준 빵과 우유를 2개씩 먹어 가면서 낄낄거리기 바빴다.

얼마 전 모처럼 헌혈을 했다. 65번째였다. 소설 속 늙은 허삼관은 모처럼 매혈을 하려고 했다가 거부당하자 피를 팔지도 못할 만큼 나이 들었음을 한탄했다. 헌혈 가능 나이는 69세까지다. 그때까지 건강을 잘 유지할 일이다.

2022-08-3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