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손 편지/강동형 논설위원

[씨줄날줄] 손 편지/강동형 논설위원

강동형 기자
입력 2015-11-27 17:54
업데이트 2015-11-27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손으로 마지막 쓴 편지는 언제쯤일까. 학창 시절 부모님에게, 아내와 연애하던 그때 그 시절 말고는 편지를 써 본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하얀 편지지를 책상 위에 펼쳐 놓고 마음을 가다듬은 뒤 해야 할 이야기를 한자 한자 써 내려간 추억이 새롭다. 토라진 연인도, 화가 난 부모님도 정성 가득 진솔하게 써내려 간 편지를 받으면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얼어붙은 마음은 눈 녹듯이 사라진다. 편지를 써 본 사람, 편지를 받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것이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편지지에 담긴 사랑과 설렘의 사연을 디지털 문자로 대체했다. 그러나 손으로 쓴 편지의 힘은 여전한 것 같다. 앞으로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미국 교포가 1년 전 하늘나라로 보낸 아내를 그리워하며 쓴 편지 100통이 미국 사회에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고 한다.

사연의 주인공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는 한국계 미국인 이형씨. 그는 7살, 10살 남매를 남겨 놓고 암으로 먼저 세상을 떠난 부인(캐서린)의 1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손 편지 100통을 써 사람들에게 나눠 줬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편지를 볼 수 있게 홈페이지(www.100lovenotes.com)를 만들었다. 편지를 쓰게 된 동기는 죽음을 맞아 잊히는 것을 가장 두려한 아내를 위한 것이다. 아내를 잊지 않기 위한 사부가(思婦歌)인 셈이다.

편지는 짧은 문장으로 하루하루의 일과와 아이들이 크는 모습을 담고 있고, 연서 형식을 하고 있다. 남편이 아내에게 쓴 편지가 50통이고, 하늘나라에 있는 아내가 남편과 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이 50통이다. 이씨는 피플지와의 인터뷰에서 편지를 쓰게 된 동기에 대해 “아내가 죽기 전에 잊히는 것을 두려워했다. 아내가 잊히지 않았다는 걸 아내가 알아줬으면 좋겠다”면서 “내게는 늦었지만 여러분에게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도 이씨가 말한 것처럼 하루라도 늦기 전에 연인이나 친구, 부모에게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며, 연서나 안부 편지를 써 보자. 종이에 써서, 봉투에 담아, 우표를 붙여 보내면 좋겠지만 아니어도 무방하다. “어머님 전상서, 어머님 어제오늘 갑자기 날씨가 차가워졌습니다. 지난 추석 때 기침을 하고 가슴에 통증이 조금 있다고 하셨는데 괜찮아지셨는지요. 저희들은 어머님 덕분에 잘 지내고 있으니 염려하지 마십시오, 다름이 아니오라….” 언제나 아들이 부모님께 ‘돈을 부쳐 달라’고 보낸 편지는 ‘다름이 아니오라’로 시작했다.

이씨의 편지 중 100번째는 휘트니 휴스턴의 노래(My love is Your love) 가사를 인용하고 있다. “심판의 날, 신이 내 인생을 물으면, 당신과 함께했노라고 말할게요.” 우리 모두 편지 한 통으로 올겨울이 따뜻해졌으면 좋겠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5-11-28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