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법정에 선 전직 대통령/박홍기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법정에 선 전직 대통령/박홍기 수석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7-05-22 22:38
수정 2017-05-22 2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1년 전이다. 1996년 2월 26일 오전 10시 서울형사지법 417호 대법정에 연두색 수의를 입은 전두환 전 대통령이 들어섰다. 수인(囚人)번호 ‘3124’가 뚜렷했다.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첫 전직 대통령의 재판이 시작된 것이다. 국민의 눈과 귀는 온통 법정에 쏠렸다. 김영일 재판장은 “피고인 전두환”이라고 호명했다.
인정신문에서 전씨는 본적과 주민등록번호를 또박또박 대답했다. “현재 주소가 어딥니까”라고 묻자 당황한 듯 “안양교도소”라고 답했다. 법정이 술렁이자 “서울 서대문구 연희2동 95-4입니다”라고 곧바로 고쳤다. 전씨는 재벌들로부터 돈을 받은 경위에 대한 질문에 “관행에 따라 으레 그런 것인 줄 알고 받았다”, “재벌들의 우국충정을 받아들여 정치자금을 받았다”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14일 뒤인 3월 11일 같은 시간 같은 법정에서 12·12 및 5·18 사건의 첫 재판이 열렸다.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이 나란히 법정에 섰다. 노씨의 수인번호는 ‘1042’였다. 검찰은 당시 12·12 사건을 군사반란, 5·18 사건을 내란행위로 규정했다. ‘성공한 쿠데타’에 대한 단죄였다. 국민은 다시는 이런 날이 없기를 바라며 두 전직 대통령을 지켜봤다.

21년이 지났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3일 법정에 선다. 법원은 피고인석에 선 박 전 대통령을 언론에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21년 전과 같은 법정, 같은 시간에 또 한 명의 전직 대통령, 수인번호 ‘503’을 단 ‘피고인 박근혜’를 볼 수밖에 없다. 뇌물 등 18가지 혐의로 구속된 지 53일 만이다. 박 전 대통령은 지금껏 주장처럼 “최순실씨의 국정 농단을 몰랐고 나는 한 푼도 사적으로 챙긴 게 없다”, “엮어도 너무 억지로 엮었다”라고 진술할 가능성이 크다. 변명과 부인으로 일관했고, 불리하다 싶으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해 왔기 때문이다.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21년 전으로 되돌아갈 듯하다. 국민의 눈에는 전직 대통령들의 ‘평행이론’ 같다. 40년 지기인 비선 실세 최씨와 같은 자리에서 재판을 받는다. 최씨 변호사의 말마따나 ‘살을 에는 고통’일 것이다.

박 전 대통령의 재판을 지켜보는 국민은 착잡하다. 떳떳하게 당당하게 국민 앞에 설 수 있는 전직 대통령을 또다시 볼 수 없어서다. 국민의 신뢰와 믿음을 깨 버린 탓에 자유로울 수 없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하다. 박 전 대통령은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 헌재의 결정 때처럼 승복하지 않는 자세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자칫 국론 분열과 혼란이 지속될 수 있다. 전직 대통령으로서 국가를 위한 길이다. 남아 있는 선택지가 별로 없다.

박홍기 수석논설위원
2017-05-2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