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16/SSI_2019121617200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16/SSI_20191216172005.jpg)
‘너그 아부지 뭐 하시노’에서 ‘너그 아(애) 뭐하노’로 옮겨진 지는 꽤 됐다. 서울교통공사의 ‘고용세습’ 의혹은 이를 증폭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감사원은 서울교통공사와 인천공항공사, LH, 한전KPS,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5개 공공기관에서 임직원의 4촌 이내 친·인척 333명이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됐다는 감사 결과를 내놓았다.
지난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전남대병원에서의 세습 채용기법은 더욱 공분을 부추겼다. 병원의 A국장의 아들은 지난해 입사시험에서 1등을 했고, 이 아들의 여자친구도 높은 등수로 합격했다. 이때 이들에게 높은 점수를 준 B과장의 아들은 올해 1등으로 입사했다. A국장과 B과장이 서로 상대 아들의 면접관으로 들어가 높은 점수를 준, ‘품앗이 채용’의 전형이었다.
문희상 국회의장과 그 아들 석균씨의 아버지 지역구 세습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사회적으로 채용비리 문제가 불거지지 않았거나, 문 의장이 만약 현직 국회의장이 아니었어도 이렇게 시끄럽지는 않았을 수 있다. 최근 국회 본회의에서 안건 상정 순서를 바꿔 가며 정부 예산안을 먼저 표결에 부치거나, 패스트트랙 법안과 관련해서도 더불어민주당 주장에 따라 부의 날짜를 정하는 일만 없었어도 공격을 덜 받았을 수 있겠다. 조국 사태가 그렇게 길게 나라를 뒤흔들지만 않았어도 그랬을지 모른다. 얼마 전 국회에서 ‘국회의원 및 고위공직자의 자녀 대학 입학 전형과정에 대한 조사를 위한 특별법안’이 거론된 것은, ‘세습’으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얼마나 험악해졌는지를 본능으로 감지한 국회의원들의 ‘자발적인’ 움직임 중의 하나였다.
지역구 세습이 전례가 없는 건 아니다. 배우자가, 자식이 이어받은 적이 있다. 그러나 권력의 정점에 있는 정치인 아버지가 아들에게 넘겨준 적은 없었다. 석균씨는 “변호사 아들이 변호사가 됐다고, 의사 아들이 의사가 됐다고 해서 세습이라고 비판하지는 않는다”며 억울해했다. 문 의장은 석균씨가 “나이도 충분하고, 커리어도 갖추고, 정치 수업도 받았다”고 했다.여론과 상관없이 정면 돌파를 시도할 모양이다.
하지만 석균씨는 선출직 정치인과 전문직의 입문 과정상의 차이점은 아직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특히 그 직업의 그 본질적인 차이점을.
jj@seoul.co.kr
2019-12-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