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를 봐도 확연하다. 매년 명절 연휴 발생하는 가족 간 폭력 범죄는 2014년 7700여건 수준에서 지난해 1만 5000여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명절 연휴 기간 가정폭력 신고 접수 건수도 하루 평균 1000건 정도로 평상시의 680여건에 비해 40% 이상 많다는 것이 경찰 측 통계다. 가족 문제라는 이유로 신고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실제 피해자는 더욱 많을 것이다.
가정폭력의 대부분은 돈 문제와 취직, 결혼 등 사소한 잔소리로 시작된다. 서로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거나 명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쌓인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가 한꺼번에 폭발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명절 증후군’이다.
술이 폭력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다. 술을 마시면 때때로 이성이 마비돼 공격적 행동이 표출될 수 있다. 의학적으로 보면 술은 뇌에서 감정과 충동을 조절하는 전두엽을 마비시킨다. 평소 잘 억제되고 조절되던 여러 욕구가 마구 분출되는 이유다. 가족 간에도 감정보다는 사실 위주의 소통이 이루어져야 갈등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가정폭력이 이혼 신청까지 번지는 사례도 많다. 설이나 추석 등 명절이 끝난 뒤 이혼신청 건수가 평소보다 2배 이상 높은 것도 이런 이유다. 연장 선상에서 명절 연휴 때 유독 심장마비 환자가 많다는 통계도 있다.
메디플렉스 세종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이 최근 지난 5년(2012∼2016년)간 심정지가 발생한 9만 5066명을 분석한 결과다. 총 43일의 설·추석 연휴에 2587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명절 연휴에 하루평균 60.2명이 심정지로 쓰러졌다는 것이다. 이는 평일(1243일), 주말(491일), 공휴일(50일)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연구팀은 명절에 심정지 환자 발생이 많은 주된 이유로 △명절 스트레스 증가 △과도한 알코올 섭취 △긴 연휴로 인한 병원 접근성의 감소 등을 꼽는다. 미국도 크리스마스와 새해 연휴에 심정지 사망률이 높다고 하니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람 사는 곳은 비슷한 모양이다. 심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는 만큼 설 명절에도 기본적인 생활 리듬을 지키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경자년 설 연휴가 시작된다. 오랜만에 모인 가족들이 웃음꽃을 피우며 서로가 열린 마음으로 배려하는, 재충전의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
oilman@seoul.co.kr
2020-01-2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