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무렵 런던 시민들이 품었을 공포의 깊이는 어느만큼이었을까. 매일 밤마다 무차별 폭격이 이어지자 런던은 급기야 등화관제에 들어갔다. 거대 도시의 밤이 통째로 빛을 잃은 어느 날 런던 시민들은 머리 위 둥근 달에다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 ‘폭격기의 달.’ 환한 보름달이 뜨면 달빛을 타고 독일 공군의 공습이 감행될 거라는, 낭만으로 포장한 공포의 언어였다.
그때나 지금이나 폭격의 공포는 질감이 달라질 게 없다. 이틀에 한 번꼴로 미사일을 쏘는 북한은 이제는 시간과 장소의 패턴까지 변화무쌍하게 변주한다. 심야에도 쏘고, 저수지에서도 쏜다. 목표물, 시간대, 사거리가 갈수록 다양해진다. 누가 어떻게 말려도 그들에게는 치밀한 계획이 있다는 노골적인 웅변이다. 선동의 언어가 난무한 것도 그때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 독일은 런던 시민의 공포감을 자극하는 심리전에 사활을 걸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적과 대화할 내용도 필요도 없다”고 쐐기를 박는다. “최강의 핵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강화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보탠다.
우리의 밤도 요즘은 연일 공포다. 우리 군이 모처럼 응수했던 미사일은 한밤중 낙탄 사고를 일으켰고 그마저 주민들은 자초지종조차 몰랐다. 이런 현실은 국민 안보불감증을 더 부추긴다. 처칠이 그렇게 위기 상황을 웅변했어도 런던 시민들의 긴장감은 오래가지 못했다. 달빛 요란한 밤에는 폭격기가 몰려오는데도 밤하늘을 보며 차를 마시고 파티를 열었다. 소풍을 나가서 공중전을 구경하기도 했다.
그 낡고 오래된 전쟁의 기록들에 가슴 서늘해지는 이즈음이다. 우리에게도 지금 ‘폭격기의 달’이 굳은살처럼 뜨고 있는 게 아닌지. 북핵 심각성에 무덤덤한 정치권과 국민 모두 안보불감증의 정도를 짚어 볼 때다. 국민 무신경, 정치권 강심장이 해법이 아니라는 사실, 그것 하나만은 또렷해진다.
2022-10-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